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과자봉지의 필터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기대되는 마음으로 한 손엔 초X파이 봉지, 한 손엔 스마트폰을 들고 다시 한번 옥상으로 향했습니다. 이번에는 선글라스까지 쓰고 만반의 준비를 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 렌즈 앞에 과자봉지를 바짝 ...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 프로그램이었던 건 아닙니다. 아마 학습이 가능하고 어느 정도 자율성을 지닌 해킹 프로그램이었을 겁니다. 그런데 네트워크 속에서 다른 여러 프로그램과 융합하면서 점점 복잡해졌고 자의식이 생겨났습니다. 과연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현재 과학자들이 개발 중인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채층’이라 하고 가장 바깥층 대기를 ‘코로나’라고 해요. 이중코로나는 100만K 정도로 매우 뜨거우며, 이온화된 상태의 물질인 플라즈마로 이루어져 있답니다.요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다들 걱정이 많을 거예요. 태양의 바깥 대기층과바이러스의 이름에 모두 ‘코로나’가 들어간 건 둘의 ... ...
- [포토뉴스] 천체관측 방해하는 인공위성 수학으로 손본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띄워 전 지구적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맨눈으로 보일 정도로 밝은 인공위성 빛은 천체관측 결과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의 궤도 정보를 놓치게 할 우려가 있었습니다.이런 비판을 수렴해 스페이스X는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태양광이 지구로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아령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훨씬 더 비효율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4.41J 정도의 일을 외부로 하기 위해 우리는 몸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고, 그에 따라 운동에 쓰이지 못하고 방출되는 열에너지가 발생한다. 역설적으로 우리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비효율성은 효과적인 ... ...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지만 꼭 합격하고 싶다. 너무 이른 감은 있지만, 만약 안내견이 된다면 은퇴는 열 살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보통 그맘 때 은퇴를 하고 퍼피워킹을 했던 집으로 돌아가거나 오랜 시간 함께 지낸 시각장애인 가족들의 집에 입양되기도 한다. 일반 가정에서 지내더라도 주기적으로 학교에서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팀은 하이퍼튜브 내부의 기압과 속도 등을 시뮬레이션해 공기 밀도가 1000분의 1기압 정도로 매우 낮은 상태에서는 소닉붐이 열차나 진공튜브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하이퍼튜브에 적용할 수 있다면 최고속도를 시속 1200km 이상으로 높일 수도 있다. 연구팀은 현재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바나나맛 우유와 색이 비슷해질 때까지 넣어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설탕을 한 숟가락 정도 추가하면 완성! 믿기지 않는다고요? 너무 쉬운 것 아니냐고요? 속는 셈치고 한 번만 먹어보세요. 바나나 향이 시판 제품보다는 약하지만, 분명 비슷한 맛이 납니다. 최성희 동의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 교수는 “현재 실험실에서는 인화인듐 퀀텀닷의 효율을 카드뮴 퀀텀닷과 유사한 정도까지 끌어올렸다”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순도 높은 색을 표현하면서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것으로 악명 높다. 9단위 수업인데, 실제로는 강의를 듣고 숙제를 하는 데만 매주 20시간 정도 걸린다. 매주 토요일 아침까지 숙제를 제출해야 하는데, 목요일 낮부터 밤까지 이론을 공부하고, 금요일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문제를 푼 뒤, 토요일 새벽에 일찍 일어나 풀이를 검토하고 제출한다. 그래도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