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복숭아같은 과일을 설탕에 절이는 당절임도 있다. 절이는 채소(혹은 과일)와 절일 물질은 주로 맛에 따라 결정된다. 달짝지근한 과일에는 설탕을 쓰는 식이다. 채소는 새콤한 초산의 맛이 잘 맞기 때문에 식초와 설탕을 적당하게 섞어 절인다.식초나 설탕에 채소를 절이면 오래 가는 이유가 뭘까.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런데 농경이 시작된 1만 년 전부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고기와 생선 대신 곡물을 주로 섭취하게 되면서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그래서 결국 햇빛을 통해 합성하는 방법을 택하게 됐습니다. 이제 자외선을 통과시키는 흰 피부가 검은 피부보다 유리해졌고, 피부는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부분이다. ADHD 환자가 충동적이거나 과잉행동을 보이다가 성인이 되면 잦아들고, 주로 부주의함을 보이는 이유가 뇌의 발달 지연에 있음을 알 수 있다.문제는 이렇게 생물학적인 이상에 원인이 있다 보니, 환자 스스로가 힘들어하면서도 혼자서는 고치거나 극복할 생각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김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프렉탈을 품은 눈결정 키우기’, ‘수학 기호로만 적는 피아노 악보 만들기’ 등 주로 창의적인 실험까지 겸한 연구들이 상을 수상한다.‘만물은 수이다’라는 동아리 이름에 걸맞게, 고등학생이 할 수 있는 행사라면 빠짐없이 섭렵하는 아인스! 이들의 크고 작은 활동을 통해 꿈과 실력이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세대이들이 노벨상을 받은 연구는 암흑에너지 탐사의 1세대에 해당한다. 연구 대상은 주로 초신성, 그중에서도 표준촛불로 쓰이는 1a형 초신성(SN1a)이었다. 이런 종류의 초신성은 절대밝기가 항상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 볼 때는 멀리 있는 1a형 초신성일수록 어둡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지구와의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도·감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치와 운용이 쉽지 않아, 군용 통신망 도·감청에 주로 활용됐다. 또한 1980년대 이후 자장이 발생하지 않는 광섬유케이블이 깔리면서 해저케이블 도·감청은 줄어들었다.인터넷 시대, 모든 데이터를 엿본다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첩보기관의 도·감청 방식은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일어났지요. 면역계 이상과 기면증의 상관관계를 시사한 사건이었습니다.”기면증은 주로 15~16세의 청소년 시기에 처음 발병한다. 바이러스성 질환인 감기나 신종플루에 걸리면 몸 안에서 항체를 만드는데, 사춘기에는 뇌 조직과 구조가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이런 항체가 엉뚱하게도 뇌의 특정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습니다. 농약 투성이라거나 당지수가 높아 혈당을 빠르게 올린다는 등입니다. 우리가 주로 먹는 수입 밀가루가 농약 투성이인지는 제가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수입 밀가루를 대상으로 잔류 농약 검사를 하고 있을 텐데, 왜 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없을까요? 당지수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을까요? 연구자들은 돌고래가 숨 쉴 때마다 물 위로 불쑥 올라오는 등지느러미를 보고 주로 어떤 돌고래인지 구분해요. 미역이나 해초를 감고 장난치다가 긁힌 상처가 지느러미에 많거든요. 어민들이 설치한 그물에 걸려 흉터가 남기도 하지요. 상처와 흉터를 보면 돌고래를 구분할 수 있어요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각 이빨이 서로 다르게 분화해 발달했다. 즉, 다른 포유류는 주로 먹는 먹잇감의 종류에 맞게 이빨이 발달했지만, 사람은 무엇이든 다 잘 먹을 수 있는 이빨을 발달시킨 것이다. 5. 먹는 게 다가 아니다입이 단순히 먹는 데만 쓰였다면 입의 중요성은 지금보다 훨씬 작았을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