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물속에선 문어가 제일 잘나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늘어날 수 있는 소재로 로봇 몸통을 만들었다. 로봇은 물을 채워 몸을 부풀린 뒤 뒤쪽 방향으로 물을 발사하고, 이어 몸통이 빠르게 수축해서 가속도를 얻는다.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1초다. 어뢰와 같은 딱딱한 물체는 물과 부딪히며 에너지를 잃지만, 문어 로봇은 오히려 ... ...
- 베일 벗은 ‘페르미 버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감마선을 내뿜는 거대한 *버블을 발견했어요. 이 버블은 우리은하의 팔과 수직한 방향으로, 그 길이가 약 5만 광년에 달했어요. 그동안은 우주 안개에 가려 잘 보이지 않다가, 당시 연구팀이 망원경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보정하던 중 발견했지요.그런데 최근 이 ‘페르미 버블’의 커지는 속도와 그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값이 있는 스위치가 내장돼 있다. 손으로 흔들면 스위치 값이 변하면서 각 관절이 정해진 방향으로 뒤틀린다. 마치 DNA를 구성하는 4개의 염기(A, C, T, G)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되는 것과 같다. 4D 프린팅은 머지않은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모든 ... ...
- 제왕나비는 왜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위치를 보고, 낮과 밤 같은 하루의 시각을 인지하는 체내시계로 현재의 시각을 파악해 방향을 찾는 것이랍니다. 신기하게도 제왕나비는 태양이 없는 흐린 날에도 길을 알 수 있어요. 더듬이 안에 자석 역할을 하는 세포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제왕나비는 맑은 날이나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30여 분을 달린 후 이쯤일거라고 말하며 행운이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정류장에서 대충 방향을 정하고 조금 걸었다. 어느덧 시골길로 접어었고 주위에는 도움 받을 사람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참을 걷다가 만난 한 중년의 여인. 이 사람에게서 물어볼 기회를 놓치면 다시 언제 사람을 만날지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정전기적 인력과 척력으로 자기부상열차를 움직이는 모터)를 설치해 수평․수직방향으로 갈 수 있게 한 것 같다”고 말했다.한 통로에 한 대밖에 못 다니는 기존 승강기에 비해 확실히 에너지 효율이 좋다. 이 회사에 따르면 건물 내 승강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50% 줄어들고, 승강기가 움직이는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감자였던 타원궤도 증명 문제를 손쉽게 해결한다. 혜성의 주기는 물론 지구가 어느 방향으로 볼록할지도 예측한다. 모두 수학이라는 강력한 무기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보편중력 법칙은 하늘은 완벽하고 땅은 불완전하다는 오래된 믿음을 깨뜨렸다. 우주의 태양이든 땅위의 사과든 모든 물질은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수학자 폴 레비의 이름을 딴 것이다. 레비 워크는 어느 한 지역에서 규칙없이 아무렇게나 방향을 바꾸며 움직이다가 다른 지역으로 멀리 이동해 똑같은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이다. 레비 워크는 먹이를 찾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 펭귄뿐 아니라 상어나 참치 같은 여러 해양동물이 이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아래 보이는 정원이 참 낯설었다. 어리둥절 지나쳤던 홀을 유심히 살펴 봤다. 동서남북 방향으로 큰 방들이 있고, 사이사이 작은 방이 있었다. 직선과 곡선이라는 차이만 있었을 뿐, 붉은 벽처럼 빈틈없이 맞물린 구조였다. 다시 한번 블록 쌓기가 생각났다. 수건을 들고 나오는 삼촌을 향해 오 선생이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이때 유리 안과 밖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입자를 잡아당긴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은 수직 방향으로 전달된다. 덕분에 유리 파편은 밖으로 튀지 않고 알갱이처럼 부서진다. 수학으로 증명하는 강화유리의 ‘안전성’공학자들은 강화유리의 안전 강도를 증명하기 위해 수학의 한 분야인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