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다이아몬드를 지나 다시 공기 중으로 나올 때도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에서 진행하던 방향과 다르게 꺾여 나오지요. 그래서 다이아몬드를 여러 각도로 컷팅하면 빛이 이리저리 꺾이면서 반짝거리게 돼요.호웰 교수는 바로 이 굴절률을 이용했어요. 수조 뒤에서 나오는 빛(배경)은 수조에서 물을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길이 1cm의 미세한 선이 있었는데, 마치 톱니 끝처럼 지그재그 휘어 있었다(위 사진). 또 방향이 바뀔 때도 도구를 뗀 흔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우연히 이런 흔적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재현을 해봤는데 제작이 몹시 ... ...
- [과학뉴스] 은하의 자기장초상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분포와 구성을 알 수 있다. 미세한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은 은하 자기장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계 중심부(은하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는데,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해야 했다. 가장 가까운 항구는 860km, 사우스조지아 섬은 1300km 떨어져 있었다. 바람 방향을 생각하면 사우스조지아 섬이 그나마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섀클턴은 탐험 전체에서 가장 무모하지만, 대원들의 생존 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모험을 하기로 했다. 가지고 있던 보트 중 하나인 커드 호에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쭉 펴지게 돼. 그럼 가로 15m, 세로 10m의 대형 비닐백으로 변신하지. 소행성이 움직이는 방향의 90℃로 다가가 비닐백 안에 들어오도록 천천히 움직인 뒤, 마치 짐을 싸듯 비닐이 다시 오그라들며 소행성을 붙잡는 거야. 그 다음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궤도를 바꿀 수도 있는 거지.NASA에서 처음으로 ... ...
- 카멜레온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순식간에 곤충을 낚아챈답니다. 또한 눈알을 자유자재로 굴릴 수 있어서 거의 모든 방향을 볼 수 있지요. 평상시엔 한쪽 눈만 앞을 바라보고 나머지 눈은 주변을 살펴 천적이 있는지 감시해요. 카멜레온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바로 몸 색깔이 변한다는 점이에요. 피부에 들어 있는 색소세포를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붙어 있어서 몸이 거대해지면 자기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쓰러질 거예요. 또 이미 다른 방향으로 진화한 동물들이기 때문에 몸집이 커진다고 해서 과거에 살았던 공룡이 될 수는 없어요.그렇다면 영화 ‘쥐라기공원’에서처럼 화석에 남아 있는 DNA를 이용해 공룡을 복원할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때 암컷이 서로 경쟁하고 수컷은 맘에 드는 암컷을 선택을 할 수 있어요.성선택의 방향과 방법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 쏟는 노력이 결정해요. 그것이 작동성비를 결정하고, 암수 중에서 누가 경쟁하거나 선택할지를 결정하지요. 여러분도 좋아하는 동물을 잘 관찰해 보세요. 암컷과 수컷 중 누가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2년 동안 개 70마리가 똥을 1893번, 오줌을 5582번 싸는 걸 지켜봤대. 그 결과 개들이 자기장 방향에 맞게 자세를 취한다는 걸 확인했지. 으~, 정말 인내심이 대단한 걸~!극지과학 순록도 사람이 더 무서워북극에 사는 스발바르 순록은 덩치가 큰 북극곰을 무서워할까, 처음 보는 낯선 사람을 무서워할까?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거리만큼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내야 해요. 그럼 귀 사이의 거리가 짧은 동물들도 소리와 방향을 알아채기 훨씬 쉬워지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여치는 작은 몸 크기만큼 높은 주파수의 노래를 불러요. 사람은 압력 귀, 여치는 압력차 귀여치와 귀뚜라미는 소리를 인지하는 방법도 사람과 달라요. 흔히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