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비슷한 결과를 내놓았다. 참가자에게 인생에서 가장 큰 실패를 떠올리게 하고 두 가지 방향으로 대응을 하게 했다. 한 집단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라’는 식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실패를 극복하게 했다. 다른 집단은 ‘자신도 한낱 인간이며 얼마든지 실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힘과 같다.❸ 물체 A가 다른 물체 B에 힘을 가하면, 물체 B는 물체 A에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힘을 동시에 가한다.뉴턴은 이 3개의 공리로 구체적인 힘이 작용하는 수많은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덕분에 달이나 행성의 궤적, 또는 발사된 대포알의 운동을 설명했다. 그보다 더 중요한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더 세련된 방법을 골랐을 것이다. 우주에서 작은 소행성을 포획해 큰 소행성 에 충돌시켜 방향을 바꾸는 방법 말이다. 마치 당구공 치듯이, NASA는 영화 같은 이런 계획을 실제로 추진하고 있다. 바로 소행성궤도변경 임무(Asteroid Redirect Mission)다. 잘하면 2020년경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의한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쯤 되면 왼손을 들고 엄지와 검지, 중지를 직각으로 펼쳐 -플레밍의 왼속 법칙- 방향을 살피기 시작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원형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유도 전류를 만드는 것처럼 지구 자기장과 만난 하전 입자는 남극과 북극으로 흘러들어간다. 이 입자는 강력한 에너지를 갖고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MID만의 대표선수를 만들다최재천 편집장은 과학 전문작가 발굴을 MID가 나아갈 가장 큰 방향으로 손꼽았다. 최 편집장은 현재 과학출판의 현실을 영화 배급 시스템에 비유했다. 대부분의 국내 영화가 3대 배급사를 통해 극장에 걸리듯 대중의 관심을 받을 만한 외국 과학도서 대부분도 이미 자리 잡은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눈치 빠른 곤충은 조금만 주위에서 움직여도 바로 도망가죠. 또 각 홑눈이 조금씩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머리를 돌리지 않고도 넓은 지역을 볼 수 있어요.자외선까지 볼 수 있는 벌과 나비의 겹눈!벌과 나비가 꿀이 있는 꽃을 어떻게 찾을까요? 사람처럼 화려한 꽃의 색을 알아보는 걸까요?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3차원이다. 직선 위의 세계가 1차원, 평면 위의 세계가 2차원이라면 가로, 세로, 높이 세 방향이 만드는 공간이 3차원이다. 약속을 잡을 때 만나는 장소(공간좌표)와 시간을 함께 정하면 서로 엇갈리는 불상사는 생기지 않는다. 이처럼 시간과 공간은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다.러시아의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지국 안테나에서 전자파를 보낼 때 사용자의 휴대전화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방향으로 보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제 휴대전화의 안테나는 기지국에서 보내는 신호의 아주 일부만을 수신한다. 그런데 이를 레이저빔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해 4G보다 용량을 1000배 증가시키고, 에너지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시간의 20%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개들이 동서방향은 피하고 하필 남북방향으로 몸을 두는 걸까. 연구진은 “아직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그노벨상을 받으려면 이런 엉뚱함이 있어야 한다. 혁신적인 사고는 역시 남들이 주목하지 않는 분야에서 탄생한다. 아기 똥에서 몸에 좋은 ...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측정할 때 흔히 쓰는 ‘아르곤-아르곤 연대측정법’을 이용해 지층의 연대와 자기장 방향을 정밀하게 조사했다. 그 결과, 현재의 자북극(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78만6000년 전 남쪽에 있다가 78만6100년 전 지금의 위치로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