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출시 후 선분 조각을 분실하는 사용자 출몰! 선분 조각을 겹쳐두니 고정이 안 돼서 불편하다는 의견 발생! 손으로 그리되 무리수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을까? → 시크릿피겨 전용 ‘무리수자’를 별도 구성품으로 만들어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함. 보드게임은 이처럼 출시 후에도 계속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로 등골이 짜릿~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친구들이 댓글로 문제에 관한 질문이나 해결 아이디어 및 풀이를 공유해요. 보통 한 문제 안에는 소문제 3~5개가 있는데, 1, 2번은 다음 소문제로 나아가기 위한 문제로 비교적 쉽고, 마지막 문제가 가장 고난이도예요. 이 중에는 해결하면 논문으로 내도 될 만큼 의미있는 문제도 있어요. 서로 도와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강다니엘과 내 마음은 교집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기준에 맞는 모임, 집합★“강다니엘을 많이 좋아하는 사람, 이 동그라미 안으로 모여주세요.”학생들이 잔뜩 모인 운동장에서 이렇게 외쳤다고 하자. 그러면 사람들은 가야 할지 말아야 할지 헷갈릴 것이다. ‘많이 좋아한다’는 것은 명확한 기준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 집합을 쓰면 ... ...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있는 피부세포에 광수용체 유도물질을 주입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기술을 고안했다.안구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원추세포의 광수용체와 명암을 구분하는 간상세포의 광수용체가 있는데, 연구팀은 간상세포의 광수용체를 대상으로 했다.광수용체 유도물질은 5가지 작은 분자들을 혼합한 화합물로,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허블우주망원경을 수리하는 모습은 화제가 되기도 했다.그 덕분인지 당초 15년 동안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던 허블우주망원경은 극심한 온도 변화와 강력한 우주선(cosmic ray)이 쏟아지는 우주 공간에서 30년째 활동하고 있다. 긴 임무를 마칠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퇴역 시점은 정해지지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내는 자발광 퀀텀닷을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것을 디스플레이에 응용했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한다는 사실까지 입증했다. doi: 10.1038/s41586-019-1771-5기존의 퀀텀닷 응용 소자가 빛을 흡수하는 퀀텀닷의 특성만 활용했다면, 이번 퀀텀닷은 전류를 흡수해야 하는 더 고난도의 기술이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길게는 1년 정도 머물며 심리 변화 등 고립 상황에서 신체 변화를 기록한다. 총 36개월 동안 수집한 자료는 현재 분석 중이다. NASA의 우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극한 환경 임무 수행 훈련 프로그램인 ‘니모(NEEMO·NASA Extreme Environment Mission Operations)’도 성공적으로 마쳐야 한다. 니모는 바다 한가 ...
- [SF에 묻는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s. 사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시간이 남자 눈앞에 있는 암벽을 오르고 싶다는 충동을 느낍니다. 진정한 도전이 되도록 안전장치까지 버리면서요. 정말로 인공지능도 산에 오르거나 공중에서 뛰어내리고 싶은 충동을 느낄까요? 이렇게 위험한 상황에 도전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인공지능이 있을 때 우리는 인공지능이 느끼는 ... ...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상품 추천, 음성 인식, 번역, 질병 진단 등 인공지능은 우리 삶에 아주 가까이 다가와 있습니다. 그런데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활용하려면 수학과 코딩이 필수라 ... 익혀 인공지능과 수학을 모두 잡으세요! 용어정리*행렬 : 수 또는 문자를 대괄호 안에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고가의 디지털카메라용 줌 렌즈는 길이가 30cm에 이를 만큼 경통이 거대하다. 이 안에 배치한 렌즈로 초점거리를 확보해 80배 이상의 광학 줌을 구현한다. 박 교수는 “디자인의 한계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광학 줌만으로 80~100배 배율을 달성하긴 어렵다”면서도 “나노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어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