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남는다. 원심분리가 끝나면 벽에 붙어 있는 결정을 긁어내고 뜨거운 물을 뿌려
표면
에 묻은 시럽을 씻어낸 뒤 건조기로 보내 결정을 말린다. 이 모든 과정을 막 끝내고 컨베이어벨트에서 쏟아져 나오는 ‘따끈따끈한’(막 만들었다는 비유적 의미뿐 아니라 물리적으로도 따뜻한!) 설탕가루를 한 줌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극지방, 심해를 꼽을 수 있지만 눈을 우주로 돌리면 온통 극단적인 환경이다. 달만 해도
표면
온도가 최저-150℃에서 최고 100℃까지 변해 일교차가 무려 250℃나 된다. 그러니 달이나 화성에 우주기지를 건설하려면 우주선을 개발해야 할 뿐 아니라 그런 악조건에서 버틸 수 있는 구조물을 지을 수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유기발광다이오드)나 미래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할 때도 정밀한
표면
분석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초진공 켈빈프로브 현미경 시스템이 전자산업에 기여하는 바는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노벨상의 영광을 안겨준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광전효과는 금속이나 반도체의
표면
에 빛을 쪼이면 전자들이 튀어 나오는 현상이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CCD칩에 닿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자가 발생해 수백만 개의 작은 CCD내부에 모인다. 모인 전자의 양은 빛의 양과 비례하기 때문에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강한 햇살이 하얀 온누리호에 쏟아졌다. 일렁거리는 바닷물에 반사된 햇빛이 선체의
표면
에 어지러운 무늬를 그리고 있다.인근 시장에서 막 사온 신선한 야채와 과일이 마지막으로 배에 실리고 있었다. 이른 아침 눈을 뜬 연구원들과 승무원들은 뱃머리에 나란히 서서 손을 흔드는 ‘포즈’를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반응을 일으키는 주원인이다.이 세포의
표면
에는 면역글로불린E가 붙을 수 있는
표면
인자가 있는데, 알레르겐이 면역글로불린E와 결합하면 비만세포가 활성화된다. 이렇게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신경전달물질인 히스타민을 분비해 신경말단을 계속 자극하며 알레르기를 일으킨다.가려움 느끼는 제5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발표했다.그러나 별까지 거리가 태양에서 수성까지 거리의 23분의 1에 불과해 열기로
표면
온도가 1000℃에 이르고 공전주기도 20시간밖에 안 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니다. 한 교수는 “공전반경이 클수록 별을 가린 행성을 찾을 확률이 낮아진다”며 “또 행성이 너무 작으면 별을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 주인공이다. 이 전파망원경은 주로 활성은하의 중심부 활동이나 나이가 많은 별의
표면
에서 나오는 전파신호를 세밀하게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각 전파망원경으로 동시에 관측한 자료를 한데 모아 분석하는 ‘상관 작업’을 거치면 자료는 하나로 거듭난다. 이 작업을 마치면 전파망원경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표면
의 홈(딤플)은 공기저항을 줄여 더 멀리 날아가도록 돕는다.마찬가지로 케이블
표면
의 딤플은 공기저항을 줄여 교량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교량 상판과 케이블 연결부에는 자동차에 쓰이는 충격 흡수장치인 서스펜션도 도입해 상판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스프링과 유압장치로 구성되는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옮겨 발현할 때 세포막에서 발현이 불가능하지만 로돕신에는 신호서열이 있어 세포막
표면
에 단백질 수용체를 만들 수 있었다. 평소 다른 분야의 논문을 꾸준히 읽어둔 덕분에 얻은 빛나는 아이디어였다.생명공학과 나노전자의 랑데뷰이렇게 발현한 후각수용체는 1차 후각신호 감지부로 이용한다.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