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그렇더라도 피부에 닿았다면 바로 흐르는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준비가 다 되면 야광봉
속
물질을 모두 꺼내서 분리합니다. 플라스틱관의 윗부분을 자르면 그 안의 유리관을 꺼낼 수 있습니다. 유리관은 안전을 위해 끝을 휴지로 감싸고 가위로 자르세요. 참고로 유리관 밖에 차 있던 과산화수소는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않았지만, 사람의 활동에서 비롯된 움직임이나 열을 전기로 변환해 사용하는 방법은 계
속
개발되고 있다. 이를 인체 에너지 하베스팅이라고 한다.에너지 하베스팅의 대표적인 도구는 압력을 전기로 변환시켜주는 압전소자다. 압전소자에 사용되는 결정물질은 평소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평형 ...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기억하고 있었다. 홍 군은 “평소에 좋아했던 마블 시리즈 영화
속
캐릭터의 특징을 과학적으로 설명한 기사가 재밌었다”며(2017년 기사다) “최근에는 가장 좋아하는 색인 검정색을, 반사율을 기준으로 울트라블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기사를 흥미롭게 읽었다”고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착시로 가득한 환상의 뮤직비디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영상을 보는 내내 감탄을 금치 못했어요. 다양한 착시들이 정신없이 이어지는데…, 꿈
속
의 한 장면을 보는 것처럼 환상적이었거든요. 심지어 음악도 너무 좋답니다. 이 영상을 보면 왜 이 밴드의 뮤직비디오를 추천했는지 알게 될 거예요. ●키보드가 아세톤을 만났을 때 조회수 : 26만 회채널명 :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조금만 열면 증산작용이 감소해 기온이 올라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식생이나 해양
속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들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어요. 그리고 이 반응이 북극의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현재보다 2배 ... ...
[특집] 종이접기로 에프매스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나를 알아볼 수 있겠어? 그래 나야 나! 에드바르 뭉크의 작품 ‘절규’
속
에서 절규하던 사람! 알던 것과는 모습이 좀 다르지? 글쎄 자고 일어났더니 얼굴이 종이로 접은 해골로 바뀌었어. 마법에 걸린 이 모습에서 벗어나려면 종이접기로 수학동아 캐릭터 ‘에프매스’를 만들어야 한대. 나와 함께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화학자인 엘즈비에타 쿠로프스카의 손을 거치면 어둠
속
에 숨죽이고 있던 물체는 생동감 넘치는 생명체로 되살아난다. 오랫동안 과학계에 몸담아 온 작가는 유기 젤(organic gel)로 생명체의 모습을 구현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재활용하려는 수요는 뚝 떨어졌다. 잘 썩는 플라스틱 만들 수 없을까? 코로나19가 지
속
된다면 당분간 일회용품 사용은 피하기 어렵다. 과학자들은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현실적인 방법을 찾고있다. 나무 섬유 등 자연소재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이 대표적이다. 바나나 나무의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유발하고 환자 혈액에 그 병원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혈액
속
병원체가 침팬지를 감염시킬 수 있음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올터 박사팀은 이 병원체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임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새로운 C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주춧돌을 제공한 ... ...
고생대 최강 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턱 힘으로 오른 ‘끝판왕’ 자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힘은 약 6000N(뉴턴·1N은 1kg의 물체를 1m/s2로 가
속
시킬 때 필요한 힘)에 달했다. 오늘날 바닷
속
최상위 포식자인 백상아리의 턱 힘(약 2341N)보다 세 배가량 강했다. 둔클레오스테우스 두개골 모형은 국내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대전 지질박물관에서 6월 19일부터 움직이는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