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낮춘답니다. 실제로 또 다른 실험에서 상어는 10~30μV의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기계를 100% 찾아내 물어뜯었지만, 6μV까지 신호를 낮추자 50%만 찾아냈어요. 즉, 갑오징어는 상어의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기술을 이미 알고 있었던 거예요.변신하고, 먹물 뿜고, 들러붙는다!문어가 위협을 느끼면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2100년에는 모기가 열대지방은 2배,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방은 100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어요.모기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 무서운 이유는 모기가 옮기는 질병이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모기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의 질병을 옮기거든요.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탄루 단층이라는 큰 단층이 지나는 거대한 용암분지다. 단열대가 많이 발달해 있고 100개가 넘는 분화구가 있다. 하지만 일대가 워낙 넓고 용암으로 뒤덮여 있어 암석에 눈이 밝은 지질학자들도 탐사하기가 쉽지 않았다. “가다가 재밌는 게 보이면 무조건 차를 세웠습니다. 논문을 통해 이미 알고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논문을 한 편씩 출품한다. 한 곳에 모여 발표를 한 뒤, 논문 60점, 발표 40점 총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등수를 가린다. 이 조사관은 “상금이나 특진 같은 보상은 없지만, 한국 화재조사의 전문성을 기르고자 하는 열정 하나만으로 다들 열심”이라고 말했다.연구 주제는 최근 2년간 해당 소방서가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중요한 포인트다.슈퍼카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대부분의 슈퍼카는 4초 안팎인데, 엔진의 힘으로 앞바퀴를 굴리는 전륜구동 방식으로는 이렇게 하기가 어렵다. 멈춰 있던 자동차는 출발할 때 생기는 관성력으로 인해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특수 렌즈가 들어갔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시야각이 100°로 사람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동시에 잘 볼 수 있는 렌즈”라고 설명했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였고 한 사람도 다치지 않았다. 쓰레기도 기물파손도 없었다. 주도자도 지도자도 없는 100만 명의 군중이 모였는데 그들 모두가 자신의 의지로 싸우지 않을 것을 선택하고돌아갔다. 세계사에 다시없는 풍경이었다.나라에서는 단어를 골랐다. ‘괴담’, ‘허위선동’, ‘근거 없는’. 수많은 문제를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인형이랍니다. 귀여운데다 자연을 해치지 않는 친환경 베티, 정말 기특하죠? 생태문화 100배 즐기기!“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는 어떻게 달라요?”지사탐 스태프 팀인 ‘닥터구리’가 운영하는 개구리 부스에는 관람객이 끊이지 않았어요. 유상홍 대원은 미리 준비해온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간단한 경우부터 생각해 봅시다. 여기 꼭짓점 6개가 있습니다. 각각의 이름은 001, 010, 100처럼 1이 하나고 0이 두 개인 문자열이거나 011, 101, 110처럼 1이 두 개고 0이 하나인 문자열입니다. 만일 어떤 꼭짓점 A의 이름에 적힌 세 숫자 중 하나를 골라 0은 1로, 1은 0으로 바꿔서 다른 꼭짓점 B의 이름이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지 않다. 그리고 그 단층대를 따라 청진, 길주, 명천, 김책 등 도시가 있고 여기에 1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풍계리와 백두산은 116km 떨어져 있다. 지층 균열 자체도 문제다. 암석이 파괴되면 그 틈 사이로 핵물질이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이 책임연구원은 “북한이야말로 규모 7.0 이상 되는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