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담을 넘는 건 쉬웠다. 넘자마자 학교 옆에 있는 공원으로 달려갔다. 하지만 소용 없었다. 100m나 갔을까. 어느새 뒤에 따라붙은 마고가 말을 걸었다.“또 학교에서 도망친 거야?”“에휴, 역시 소용없군. 신경 쓰지 말라고. 어차피 난 수업 들어도 이해 못하니까.”“그럴수록 더욱 열심히 해야지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금지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 삶의 일부가 된 스마트폰을 포함해 이미 100억 개가 넘는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돼 있다. 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연결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는 이미 도래해 있다.이미 스마트폰이나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단어는 적어도 약 10만 개다. 따라서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까지 표현하려면 최소 100차원 이상의 성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개발자들의 설명이다. 김준석 네이버 파파고 개발팀 리더는 “사실 벡터는 다 수치화된 값이기 때문에 개발자도 각각의 수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다”며 “다만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0억 년이나 된다고 주장했고, 프리드먼 박사팀은 허블 상수가 훨씬 커서 우주 나이가 100억 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샌디지 박사가 2010년 타계하기 전에는 우주의 나이가 약 140억 년이라고 의견을 좁혔다).만약 애덤 리스 교수팀의 새 연구 결과가 맞다면 우주는 이전 예측보다 약 8% 더 빨리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등이 있고 맨 후미의 엔진실 위에는 헬리콥터 이착륙장이 있었다. 승무원과 과학자를 100명 넘게 태울 수 있다.8월 9일 콜롬보항을 출발해 드디어 시추현장에 도착했다. 3일 밤낮을 달려온 이곳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단에서 서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인도양 한 복판, SUMA-11C지점(동경 91°36’,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장 위대한 사상가 가운데 하나”라고 평했다. 1999년에 ‘타임’지는 20세기를 대표하는 100인의 과학자와 사상가에 그의 이름을 넣었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버스란 이름을 처음 들어본 이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긴, 어떤 사람들은 트리버스가 1970년대에 요절했다면 20세기 과학이 낳은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단면적이 가장 큰 산악자전거는 0.57㎡로, 리컴번트 보다 1.6배 넓죠. 그래서 산악자전거가 100m를 갈 때 리컴번트 자전거는 163m를 달릴 수 있답니다.공기를 흘려보내는 부드러운 곡선의 힘에타는 이 리컴번트 자전거에 덮개를 씌운 형태예요. 이런 자전거를 ‘벨로모빌’이라고 부른답니다. 덮개로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수 있어요. 이렇게 만든 비행기는 앞뒤 길이 7m, 날개폭 20여m의 큰 크기에도 무게가 100kg밖에 되지 않는답니다.카이스트의 인간동력 항공기 동아리인 이카루스는 지난해 열린 ‘인간동력 항공기 경진대회’에서 가장 먼 거리(45m)를 비행했어요. 15명의 팀원들은 한 학기 동안 설계에서부터 제작,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보여 줄게!DNA로 로봇을 만들다독일의 뮌헨공과대학교 연구팀이 DNA 가닥을 이어 붙여 약 100*nm의 로봇을 만들었어요.우리 몸의 설계도인 DNA는 이중나선 구조를 하고 있어요. 두 선 사이는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이라는 염기가 서로 쌍을 이뤄 단단한 결합을 하고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가장 큰 이유는 화성 대기의 밀도가 작기 때문이에요. 화성 대기는 지구 대기 밀도의 100분의 1정도에 불과하거든요.대기 중에 공기가 많을수록 물체가 떨어질 때 받는 저항은 커져요. 그럼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물체의 속도는 어느 정도 줄어들게 되지요. 하지만 화성처럼 공기가 적을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