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결과와 비교했다.측정 결과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으면 북극 대기에 크기가 10nm(나노미터,
100
만 분의 1mm) 이상인 입자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 입자들은 80nm 이상으로 커져 구름방울이 됐다. 그리고 북극 전체의 구름방울 농도가 10% 증가했다. 이는 실제 북극대기를 측정한 결과와도 유사했다.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금지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 삶의 일부가 된 스마트폰을 포함해 이미
100
억 개가 넘는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돼 있다. 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연결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는 이미 도래해 있다.이미 스마트폰이나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200억 년이나 된다고 주장했고, 프리드먼 박사팀은 허블 상수가 훨씬 커서 우주 나이가
100
억 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샌디지 박사가 2010년 타계하기 전에는 우주의 나이가 약 140억 년이라고 의견을 좁혔다).만약 애덤 리스 교수팀의 새 연구 결과가 맞다면 우주는 이전 예측보다 약 8% 더 빨리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또한 꼬리의 깃털에는 ‘우축’이라고 불리는 깃털 줄기가 있는데, 그 폭이 60μm(μm=
100
만 분의 1m) 정도로 현재 조류보다 좁았어요. 이렇게 우축의 폭이 좁으면 충분히 튼튼하지 않아 날아다니기에 적합하지 않지요.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호박 속에서 발견된 깃털 달린 꼬리가 수각류 공룡의 ... ...
루이 브라유의 일기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마침내 파리왕립맹학교에 입학했어. 가족들과 떨어져 지낸다고 생각하니 무척 떨리지만 그동안 눈이 불편해서 할 수 없었던 공부를 마음껏 하고 싶어. 이곳은 나처럼 앞이 보이지않는 학생이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거든. 친구도
100
명이나 있어. 내일부터 친구와 함께 열심히 공부할 생각이야!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은 과학의 여왕이고, 수론은 수학의 여왕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알아본다고 했나요? 가우스는 3살 때 아버지의 계산 실수를 바로잡고 10살 때는 1부터
100
까지의 자연수 합을 등차수열의 대칭성으로 계산해 선생님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가우스를 수학의 황제라고 부르는 이유는 수학의 전 분야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겼기 때문입니다. 대학생 시절 정수론을 ... ...
[정기독자 특별 혜택!] 과학동아 1년 정기구독으로
100
명의 과학자를 만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이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원자시와 천문시가 1분 이상 차이가 나려면
100
년 이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사실 윤초 제도는 단 ‘1초’의 차이도 용납하지 않고 메꾸려는 인간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반면 영국과 러시아는 윤초 제도를 지금과 같이 유지하고 싶어 한다. 4 ... ...
[Issue]
100
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단점보다 대피로로 안내해주는 가이드로서의 장점이 더 크게 작용한다”며 “
100
만 명 이상이 모인 집회인 만큼 차벽을 적절히 설치하고 유도등과 같은 안전대비 장치를 하면 초기 대피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가장 위대한 사상가 가운데 하나”라고 평했다. 1999년에 ‘타임’지는 20세기를 대표하는
100
인의 과학자와 사상가에 그의 이름을 넣었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서는 트리버스란 이름을 처음 들어본 이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긴, 어떤 사람들은 트리버스가 1970년대에 요절했다면 20세기 과학이 낳은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