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JAXA)에 대해 들으면 생각이 조금은 달라질 겁니다. 일단 현재까지 로켓을 100회 넘게 발사했는데(오!) 성공률이 90%에 육박하고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실험모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2005년에 우주선 ‘하야부사’를 소행성으로 보내 처음으로 소행성 샘플을 채취해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조사기관인 외코인스티튜트에 따르면, 현재까지 생산된 430만 대의 갤노트7에는 금 100kg, 은 1000kg, 코발트 2만kg, 팔라듐 20~60kg, 텅스텐 1000kg 등이 들어 있다. “전량 매립? 현실성 없는 얘기”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지난해 11월부터 ‘갤럭시를 구하라’라는 캠페인을 진행해 왔다. 재사용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때는 전세계 5000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1957년 아시아 독감과 1968년 홍콩 독감 때도 각각 10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죠.독감 대유행은 두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가 서로의 유전자를 통째로 교환해 완전히 새로운 바이러스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요. 이를 ‘대변이’라고 부르죠. 유전자의 일부만 ... ...
- [과학뉴스] 독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흡수되면 즉시 신경계를 마비시켜 호흡 곤란을 일으킵니다. VX가스는 사린보다 독성이 100배 이상 강한 물질로, 국제연합(UN)에서 대량살상무기로 지정한 독극물입니다. 피부나 호흡기로 흡입하면 수십 분 내에 사망합니다. 브롬화네오스티그민은 북한 특수요원들이 암살에 사용해 온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물방울을 만들고, 엽록소가 염산 속 수소에 의해 탈금속화되는 과정을 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측정했다. 그 결과 탈금속반응이 수십 μs의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일반 용액(약 1mL)으로 실험한 결과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엽록체를 ...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 있는 신화 속 이야기거나 우화의 제목을 땄다. 1000개가 넘는 감정선 6가지로 분류해1000개가 넘는 감정선을 단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의 힘이 필요하다. 연구팀은계층적 군집화(Hierarchical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했다. 가장 유사한 두 그룹을 계속 묶어 비교하는 ...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따라 PM10과 PM2.5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은 PM10을 지름 10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 PM2.5는 지름 2.5μm 이하로 정의하고 있다.한국에서는 PM10을 미세먼지, PM2.5를 초미세먼지라고 부르지만, 엄밀히는 둘 다 그냥 미세먼지다. 국제적으로는 지름이 0.1μm 이하일 경우를 초미세먼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역사와 수리모델링에 대해 강연했다. 먼저 강연에 나선 김우주 교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19년에 발생한 ‘스페인 독감’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인플루엔자가 인류의 역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만큼, 전염병이 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상태를 말하는 ‘판데믹’과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대 100세로 보고 있었기 때문에, 죽기 직전에 가까운 신체조건을 연구하기 위해 100세 내외의 장수인을 찾아 나섰던 것”이라고 말했다. 2001년의 일이었다.‘안티에이징’가고, ‘복원’의 시대 온다한국의 백세인들을 만나면서 박 교수는 연구 관점을 완전히 바꿨다. 죽음에 가까울 거라 생각했던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는 생애주기가 80~100년이기 때문에 오늘 당장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여도 효과는 수십 년 뒤에 나타날 것이다. 회의론자들은 기후 예측 모델이 온난화를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린첸 교수는 32개의 연구 그룹이 102개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