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항해사 마젤란이 세계 일주 도중 남반구 대양을 항해할 때 발견한 것이다. NASA가
공개
한 사진은 소마젤란성운의 일부인 NGC 346이다. NGC 346을 잘 보면 파란 빛을 내는 부분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거대한 범선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범선은 1519년 8월 세계 일주를 목표로 스페인 세비야를 힘차게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의해 발견된 지 29년만에 복원돼 지난해 12월 목포 국립해양유물전시관에서 대중에
공개
됐다. 개펄에 파묻혀 있던 배의 오른쪽은 제 모습대로 복원됐지만 사라진 왼쪽이나 앞과 뒷 부분은 철골로 뼈대를 만들었다.특히 복원 과정에서 신안 보물선이 서양 조선 기술보다 200년 가까이 앞선 세계 최고 ... ...
화성 암석서 유기물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유기물을 발견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월 11일 ‘희망의 돌’이라는 이름의 암석을
공개
했다. 이 암석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인 성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은 동식물을 구성하는 유기화합물에 들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이번 발견은 화성의 생물체와 관련 있는 증거로 기대된다 ... ...
차세대 국산 무인 비행기 설계 완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1단계로 수직으로 뜨고 내리는 무인 비행기에 대한 기본설계를 끝내고 1월 19일 이를
공개
했다.이 비행기는 고속으로 자율 비행하면서 다른 항공기나 장애물을 알아서 피한다. 5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고 최고 속도는 시속 500km이다. 기존 무인헬기의 비행 속도는 200km였다. 또 헬기처럼 수직으로 뜨고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원하는 만큼 치료받을 수 있으며 치료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시 전 세계 의료기관에
공개
된다.미국 고등학생들은 누구나 소정의 심사를 거치면 NIH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다. 학생 참여 프로그램은 NIH 내 대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보건원 소속 대다수 연구소들은 각기 독특한 학생 참가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넷스케이프의 웹 브라우저 ‘전쟁’은 1998년 넷스케이프가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공개
하면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승리로 끝난 듯 했다. 이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독주는 이어졌다.그런데 최근 ‘불여우’ 파이어폭스가 심벌마크의 그림처럼 지구를 휘감으며 MS 독주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특히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년 안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 오 교수는 “휴보의 노하우를 대부분
공개
했기 때문에 1억원 정도의 자본과 열의만 있으면 과학자 혼자서도 휴머노이드를 만들 수 있다”며 “휴보를 계기로 앞으로 한국의 휴머노이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NBH-1은 앞으로 2~3년 ... ...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가상 우주’를 누비며 여행하는 1분 40초짜리 동영상(www.dongaScience.com 참고)도 만들어
공개
했다. 이번 시뮬레이션의 장점은 수십만 광년 크기의 은하 하나에서 수십억 광년 크기의 우주거대구조까지 생성되는 과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가상 우주에서도 실제 우주에서처럼 은하와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미국천문학회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멋진 은하 사진이
공개
됐다. NGC1300이란 이름의 이 은하는 언뜻 보면 바람개비 모양을 한 나선은하와 비슷하지만 잘 보면 다르다. 특이하게도 거대한 막대(bar) 구조가 은하 중심을 통과하고 있다. 이런 은하를 막대나선은하라고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충분히 받아들일 만한 이론이었다.플랑크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대한 이런
공개
적인 지지에 그치지만은 않았다. 그 자신도 1906~1907년 사이에 최소 작용의 원리에 바탕을 둔 상대론적 역학을 발전시키는 등 초기의 상대성이론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다.그의 제자들도 이런 스승의 영향력 아래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