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비취색인가, 신비로운 색인가 원래 고려청자의 제작 기법은 비법에 속해 일반인에게
공개
되지 않았다. 고려청자는 13세기까지 성행하다가 점차 퇴화해 16세기 이후에는 제작 비법 자체가 실종됐다.1170년부터 1백년 동안 지속된 무인정권의 중요한 자금줄이었던 고려청자가 무인정권이 붕괴하면서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여행이나 음식 등 각 주제별 위키 게시판(c2.com)들이 성업 중이다. 다수가 참여하는
공개
위키 사이트 외에도 방화벽의 보호 아래 운영되는 개인 위키들도 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소셜텍스트(Socialtext, www.socialtext.com)와 같은 상업성을 표방하고 있는 응용소프트웨어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지식의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컨트롤러가 탑재됐다.현재까지 이 카메라를 이용해 KBS의 ‘뮤직뱅크’ ‘개그콘서트’
공개
방송과 2003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촬영했다. 촬영 조건에 따른 결과 영상을 분석해 효과적인 입체영상 제작 방법을 얻기 위해서다. 또한 국제방송장비전시회인 KOBA에서 입체영상 체험관을 운영해 ... ...
6월 8일 금성일면 통과 현상 벌어져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편 미우주항공국(NASA)은 태양관측위성(TRACE)이 보내온 금성일면 통과 현상 사진을
공개
했다. 가운데 사진(02)은 금성이 태양면에 막 진입한 순간으로 테두리의 붉은 기운은 금성의 대기로 인해 태양빛이 산란돼 나타난 현상이다. 왼쪽아래(03)는 자외선으로, 오른쪽아래(04)는 파장이 더 짧은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보인다. 하지만 빈 구멍은 있다. 자신은 일촌
공개
로 해놓은 정보를 일촌이 퍼가서 전체
공개
로 해놓게 된다면 결국 모두에게 노출되고 만다.또다른 사생활침해 요인은 방문기록이 남는다는 점에 있다. 인간은 다른 사람의 생활을 들여다보기를 즐긴다. 그것도 몰래 엿본다면 더욱 짜릿하다.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약 1년이 지난 6월 10일 연구단은 갤렉스가 관측한 또다른 우주의 모습을
공개
했다.이번에
공개
된 우주모습 가운데 가장 압도적인 것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2백50만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다. 12장의 갤렉스 영상이 안드로메다은하의 전체모습을 시원하게 드러내줬다. 자외선으로 본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우 주에도 바벨탑을 연상시키는 천체가 있다. 지난 5월 11일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개
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면 5단 이상으로 쌓은 탑을 위에서 바라본 듯한 천체를 만날 수 있다. 바벨탑과 비슷하게 하늘을 찌를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천상으로 향하는 계단’ 같기도 하다. HD44179라는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는 미 국방부가 넉달 동안 대외
공개
를 꺼려오던 지구온난화 관련 비밀보고서를
공개
했다. 이 보고서에는 급격한 기후변화로 세계 각국에서 식량과 물, 에너지자원 확보차원에서 처절한 생존투쟁이 일어난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네덜란드 헤이그 등 유럽의 주요 해안 도시들이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현재 이들 나라는 적성국에서 정보를 입수할 것을 우려해 60cm급 미만의 해상도만 민간에
공개
하고 있고 그 또한 촬영당일은 공급받지 못하도록 제약조건을 걸어두고 있다.하지만 동서냉전 종식과 함께 최근 선진국들은 일부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하며 이를 사업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최근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두 날개를 활짝 편 나비처럼 보이는 벌레성운의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
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한 벌레성운은 지구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있다.성운의 화려한 운무는 수명이 다해가는 별이 내뿜는 가스와 먼지가 빛을 산란시켜 연출된 것이다. 나비가 연상되는 벌레성운의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