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1백40년전 발견돼 현재 독일 훔볼트대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지난 몇년에 걸쳐 나온 비
공개
보고서들에 따르면 시조새 뒷다리에서 희미한 깃털 자국들이 발견됐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동물학자인 퍼 크리스찬센 교수와 코펜하겐 지리연구소 고생물학자인 닐 본드 박사 연구팀은 표본 분석 방식을 ... ...
생각을 전달하는 뉴로 헤드셋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원격에서 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림스테크널러지(주)는 5월 21일 뉴로 헤드셋을
공개
했다. 이날 림스테크널러지(주)의 연구원이 머리에 쓴 뉴로 헤드셋으로 장난감을 작동시키는 시연을 선보였다.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시중의 장난감 자동차를 헤드셋으로 작동시킨 것이다.이 회사의 임종진 ... ...
우주공간에 있는 거대 다이아몬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NASA)은 허블우주망원경 탄생 14주년을 맞아 다이아몬드 팔찌를 연상시키는 천체 사진을
공개
했다. 4월의 탄생석이 다이아몬드니 시기적으로도 맞아 떨어진다. 사진에서 파란빛을 뿜어내는 별무리들이 고리 모양의 팔찌라면, 고리 한쪽에 달린 노르스름한 천체는 영락없는 다이아몬드다.다이아몬드 ... ...
5월의 밤하늘 가른 니트 혜성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5월 13일 저녁 9시에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니트 혜성의 모습을
공개
했다. 이 혜성은 밤 9시경 서쪽 하늘에 떠올랐으나 예상대로 맨눈으로 겨우 보일 정도에 불과했다. NASA가 예측한 바에 따르면 니트 혜성이 가장 밝아지는 때는 5월 7일 경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다. 혜성의 꼬리가 ... ...
노 대통령은 발명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편하게 감을 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생각해냈다고 한다.설계도(위 그림)까지
공개
돼 화제가 되고 있는 독서대의 경우 특허청에 실용신안 특허까지 등록돼 있다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인사를 비공식적으로 인정해왔으면서 이번에 ‘갑자기’ 러플린의 공모 참여 사실을
공개
한데 대해 일부 교수와 학생들은 “그 취지와는 상관없이 결코 투명하지 못한 처사”라는 반응이다. 러플린 교수가 신임 총장으로 선출될 경우 이번 총장 선출 과정에서 발생했던 학내 불협화음을 반드시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물론 쉬운 일이 아니었다. 비니히와 로러 박사는 1986년 노벨상을 타기 전까지 STM의
공개
를 꺼려했다. 뿐만 아니라 STM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계 장치, 전기 장치, 소프트웨어 등 너무 많은 문제들이 쌓여있었다.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았던 셈이다.하지만 그는 “주저없이 벨연구소 연구원들의 방문을 ... ...
서울-LA 1시간 비행시대 예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전부터 이 개념을 실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최근에
공개
적으로 시험비행에 성공한 나사의 X-43A 시험비행과 이보다 2년 전에 성공한 호주 주도의 6개국 공동연구인 하이샷(HyShot) 시험비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나사는 지난 2001년에도 이번 X-43 비행실험과 같은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시작됐고, 올해는 3월 1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
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빛이 시시각각 주변의 우주먼지와 가스를 비추면서 매번 색다른 모습을 연출했다.이번에
공개
된 모습은 지난해 3월의 모습과 또 다르다. 이번 사진에 나타난 소용돌이들은 별 주변의 우주 먼지와 가스에 있는 난기류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외뿔소자리 V838은 폭발로 최후를 마치는 별의 마지막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