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회전이동하면서 다각형을 조립하게 되지요. 이처럼 점을 여러 집합으로 나누고
대칭
이동해서 넓이가 같은 다른 모양의 다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요?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공, 바나흐-타르스키 역설1924년 폴란드 수학자 알프레트 타르스키는 점까지 까다롭게 분할해도 월레스-보여이-게르빈 정리가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초끈이론에서 ‘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초끈이론은 모든 입자들이 짝이 있다는 초
대칭
성을 전제로 하는데, 짝입자 중 하나가 암흑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초끈이론은 검증이 아주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방정식의 해가 10500개!초끈이론에서 나오는 방정식의 해는 대략 10500개다.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결정 모양을 분류하거나 패턴이 있는 벽지 문양을 만들 때처럼 다양한 분야에 쓰입니다.
대칭
의 주기율표가 완성되면 아직 과학이 밝혀내지 못한 사실을 수학이 밝혀낼 수 있지 않을까요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아래쪽으로 뒤집으면 단박에 알 수도 있지요. 구멍 뚫린 종이는 총 8가지 방법으로
대칭
이동 할 수 있습니다. 90°씩 회전하는 4가지 방법과 뒤집어 다시 90°씩 회전하는 방법으로 8가지 경우만 고려해 보면 됩니다. 답을 알고 나니 매우 쉽죠? 하지만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이를 생각해내는 건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서검교 숙명여대 수학과 교수는 “육각형은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대칭
을 갖고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단순한 도형이다”라고 말했다. 원자★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알갱이다. 신비롭게 자라나는 눈결정크쟈토브의 ... ...
[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구해서 측정해요. 극소곡면은 이 평균곡률이 0이에요. 이는 곡면 위의 모든 점에서
대칭
성이 있다는 뜻이에요. 즉 밀거나 당기는 힘이 각 점에서 잘 조화돼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지요. 그래서 위 눈조각은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거예요. 도넛의 표면에 바늘로 점을 3개 콕콕 찍으면 코스타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강타자들이 즐비한 상황에서 이런 경향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야구의 이런 비
대칭
성은 야구를 한결 재미있게 만드는 요소다. 앞으로는 야구를 볼 때 왼손잡이, 특히 좌완투수를 눈여겨 보는 것은 어떨까. 게다가 2018년에는 메이저리그에서 류현진 선수가, KBO리그에서는 김광현 선수가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
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흔히 찾을 수 있는 주제이며 예술적 조형미와도 관련이 깊다. 도형의 합동과
대칭
을 학습해 일상생활 속 디자인에도 응용하고 주변 환경과 예술 작품에 대한 소양도 길러보자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한 가지 색으로 만들어야 하는 게임이다.
대칭
개념을 활용하면 어떤 문제든 풀 수 있어,
대칭
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규칙이 어렵지 않아 가족과도 함께 즐기며 놀 수 있다. 도우미로 참여한 동평중 2학년 이찬 군은 “초등학생 동생들에게 내용을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라고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낸 걸작이다. 필자가 ‘투명한 나비’로 이름 붙인 위 사진 속 표본은 좌우 완벽한
대칭
을 이루고 있다. 이런 광물을 ‘쌍정(twin)’이라고 부른다. 쌍정은 광물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특히 이 표본은 이중 쌍정으로 아주 희귀한 결정이다. 이 표본처럼 희귀한 결정은 흔치 않지만, 방해석 자체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