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슈뢰딩거의 고양이자리’ 등 천문학자들 특유의 감성과 가시광 별자리 속 신화와
대칭
을 이루는 듯한 현대 문화의 아이콘을 담아낸 점도 이 감마선 별자리만의 매력이다. 게다가 지 박사는 이 감마선 별자리 사진에서 별을 바라보는 인간들의 특징까지 짚는다. “추상적인 형태, 무늬 등을 볼 때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윤성우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은 “액시온은 강한 상호작용의 CP
대칭
과 관련된 입자물리학의 오랜 미스터리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입자”라면서 “액시온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세계 최초로 만든 분이 바로 김진의 서울대 명예교수”라고 했다. 최근엔 액시온의 특성이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증명했다. 통계학과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인 분포)’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1792년 겨우 15세였던 가우스는 매일 15분씩 투자해 어떤 수가 소수인지 따졌다. 가우스는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건 어렵다’라는 사실을 이용해 만든 ‘비
대칭
암호’다. 비
대칭
암호는 정보를 암호로 만드는 방법과 푸는 방법이 다른 걸 뜻한다. 정보를 보내는 사람은 아주 큰 두 소수를 곱해 나온 자연수(공개 키)를 이용해 정보를 암호로 만드는데, 암호를 풀려면 이 두 개의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암호시스템’이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다른 ‘비
대칭
키 암호시스템’으로, 암호화키를 공개해도 복호화를 위한 개인키를 알아낼 수 없고, 복호화키가 있어야만 암호를 풀 수 있는 구조다. 공개키는 암호 방식을 담은 암호키, 즉 잠그는 역할을 하는 키다. 외부에 ... ...
RSA 암호의 미래는?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러나 RSA 암호는 연산 양이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대칭
키 암호처럼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큰 정수 연산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 암호 알고리듬을 고속화시킬 필요성이 커졌다. 또 스마트폰 보급에 따라 모바일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바로 ‘
대칭
’에 있다. 모든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생기는 걸음걸이(한 발 뛰기)는 평행이동을 하면 서로 겹쳐진다.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갖고 있다. 이런
대칭
성은 불가사리가 속한 극피동물 일부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좌우
대칭
을 이루고 머리와 몸이 구분되는 척추동물과는 전혀 다른 몸 구조다. 그렇다면 불가사리의 머리는 어디일까.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수학자는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선을 긋거나 짝수 번 자르면 서로 마주 보는 조각끼리
대칭
을 이뤄 넓이가 같아진다고 설명했다. 자르는 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거나 홀수 번 자르면 선의 개수 같은 조건에 따라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여러 가지 수학식으로 나타내 알아봤다. 그러니까 ... ...
[가상인터뷰] 불가사리의 별 모양, 몸통 아닌 머리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중앙에 척추동물의 머리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몰려 있었어. 기존에는 불가사리의
대칭
축 5개가 각각 머리에서 꼬리까지의 복사본에 해당한다는 가설이 있었어. 이번 연구를 통해 최초로 불가사리 몸체를 형성하는 유전자 지도를 만들어 기존의 가설을 뒤집을 수 있었어. 제프 톰슨 박사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