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칭"(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바로 이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한쪽 관점에서 풀리지 않는 문제를, 거울대칭을 이루는 다른 쪽 관점에서 접근해 해결할 가능성을 모색하는 식이다. 플로어 상동성을 좀 더 쓰기 쉽게 만드는 역할의 연구를 했던 오 단장이 이번에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를 ...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IBS l2015.05.06
- 그 해에 로베르토 페체이와 헬렌 퀸 박사는 또 다른 대칭(페체이-퀸 대칭)을 도입하면 CP대칭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는 설명을 내놓았는데, 고 이휘소 박사 콘퍼런스에서 바로 이 주장이 화두가 됐다. 스티븐 와인버그와 프랭크 윌첵이, 페체이와 퀸의 가설을 따르면 새로운 입자가 나타난다고 밝혔기 ...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IBS l2015.03.26
- 단장 최기운)이 대표적인 연구팀. 최기운 단장은 입자물리학 분야의 석학으로 ‘초대칭 깨짐’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여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최 단장은 IBS에서의 연구를 통해 우주를 이루는 모든 힘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자면 우주의 기원과 텅 빈 공간에서 일어나는 ...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IBS l2015.02.25
- 뜻으로, 이 두 가지 대칭성을 합쳐 CP 대칭성이라 부른다. 양자색소역학 이론으로는 CP 대칭성이 깨질 것으로 예측되나 실제로는 보존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증명된 바 있으며, 이를 설명하는 가상의 입자가 바로 액시온이다. 최초로 제안된 액시온은 실험을 통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IBS l2014.12.10
- 빨간색과 초록색은 각각 탈륨과 실리콘 원자를 나타낸다. 파란색 화살표는 원자 구조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거울 면이다. ⓒ 염한웅 이러한 난점의 핵심은 바로 큐비트를 제대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입자의 성질 중 확연히 구분되는 상태를 지닐 수 있는 것은 무엇이나 큐비트로 이용할 수 ...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IBS l2014.11.13
- 빨간색과 초록색은 각각 탈륨과 실리콘 원자를 나타낸다. 파란색 화살표는 원자 구조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거울 면이다. 스핀트로닉스는 새로운 '방법'이므로 상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의 실리콘 기판에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문제는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부도체 삽입이나 o자형 홈을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동아사이언스 l2014.09.02
- 용어는 아니다. 석유나 석탄과 같이 연소에 의해 각종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연료와 대칭해 사용하는 사회학적 용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력발전이 청정에너지 설비의 22%, 발전량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대체에너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국내 총 ...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2014.05.14
- 관련 있다. 양성자와 같은 기본입자가 전기쌍극자모멘트를 갖는지는 물질과 반물질의 비대칭과 연관된 미스터리를 푸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2011년 세메르치디스 박사는 전 세계 28개 기관의 연구자 89명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팀을 꾸려 미국 에너지부(DOE)에 '양성자 EDM 측정 제안서'를 ... ...
- [MATH] 비트코인의 암호화 원리KISTI l2014.02.20
- 보내고자하는 정보를 암호화할 때, 암호화하는 열쇠와 복호하는 열쇠가 서로 대칭이 아니다. 즉, 정보를 보내는 쪽의 암호화열쇠와 받는 쪽의 복호열쇠가 다르기 때문에 암호화열쇠를 공개하여도 암호화된 정보가 무엇인지 알기는 매우 어렵다. 송신자가 정보 a를 공개열쇠방식으로 수신자에게 보낼 ... ...
- [만화] 스케이트 날의 과학KISTI l2014.02.14
- ” “롱 트랙 스케이트, 즉 스피드스케이트가 가장 날렵하단다. 이 종목은 400m인 타원형 대칭구조의 트랙을 도는 경기인데, 정확한 자세와 강한 스퍼트를 이용해서 빠른 속도를 내는 게 중요하지. 특히 스피드스케이팅을 할 때 잘 보면, 선수의 발이 빙판에서 떨어져 스텝을 옮길 때에도 스케이트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