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위
수면
수상
상급
귀족사회
상류사회
사회
d라이브러리
"
상류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보는것이 틀림없다.자연계에는 나트륨이 극히 적은데 나트륨이 많은것은 원수
상류
에 분뇨처리장이나 목장이 있어 오염수가 섞였음이 틀림없는것이다. 그리고 대개 정제 과정에서 있는 것이지만 염소도 건강에 나쁜 물을 만드는 중요한 원인이다. 염소는 수도물을 소독하는데쓴다. 그염소가 ... ...
PART1 오염의 실상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병으로 현재까지 약 4백여명이 사망하였다. '이따이이따이'병은 1955년, 일본의 '신츠'천
상류
에 위치한 '미쓰이'금속광업소 부근에서 나타났다. 공장에서 배출한 카드뮴 함유 폐수가 주변 농토를 오염시켜 여기서 생산된 쌀을 먹거나 식수를 마신 주민이 연골화증 등의 증세를 보인 것이다. 카드뮴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주요 도시는 도시 최단부까지 연속되는 운하망을 이루었다. 기원전 10세기경에는
상류
지역의 급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대역사를 이룬다. 약 48km에 이르는 운하가 앗시리아의 센나헤리브왕의 손에 의하여 퍼졌고 그 운하의 일부는 고대의 가장 큰 규모의 고가수도(高架水道)에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소양강
상류
는 쌍천과 합류하게 될 것이다. 하천에서 흥미로운 것은 백담계곡과 그
상류
인 구곡담계곡이다. 이들 계곡은 뱀처럼 구불거리며 흐른다. 이렇게 구불거린 곡류는 평야에서만 생기는 것이다. 특히 백담계곡은 주위의 산에 비하여 5백~1천m나 깊게 빠져서 곡류하고 있다. 이것은 평야에서 ... ...
지구 최후의 오지 아마존과 그 유역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분석하는 겁니다. 그 결과 어떤 곳에서는 다른 지류의 1백배나 오염되어 있었고 그것도
상류
에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지류도 있었읍니다. 대개는 광산에 의한 오염이었읍니다.” ─ 그러고 보면 최근 그쪽에서 골드러시가 일어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읍니다만···. “어떤 광산공동체(기업이 ... ...
낙동강보존회 회장 구철회 을숙도하구둑공사, 문제너무심각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여기에 하구둑까지 건설되면 하구둑내의 수위가 1.5m 높아지게 될 것이고, 또 낙동강 중·
상류
에서 운반돼온 막대한 양의 퇴사가 하구밖으로 유출되지 못한채 둑안에 퇴적하게 돼 하상이 더욱 높아지게 될 겁니다. 따라서 홍수피해가 더 많아질 수밖에 없어요." -상당히 심각한 결과를 예상하고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부착조류와 부니물(腐泥物)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을숙도와 그 주변 간사지는
상류
에서 풍부한 무기영양소가 흘러드는 곳으로, 이것을 영양소로 하는 갈대와 부착조류가 번성케 되며, 이를 먹이로 하는 게나 조개 그리고 여러 종의 무척추동물(지렁이) 등이 번식, 각종 철새의 먹이가 되고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것으로 보인다. 즉, 북한강 유역에 홍천댐(홍천강)이, 남한강유역에는 임계댐(남한강
상류
) 여주댐(남한강본류) 달천댐(달천) 양현댐(섬강)의 5개소가 그것인데, 규모는 (표2)와 같다. 한강에서의 용수현황을 보면 서울시를 위시하여 인근도시의 생활용수로 하루에 약4백만t을 취수하고 70만t을 ... ...
추진과 포기의 갈림길에 선 각국의 원전 건설계획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이것은 독일 KWU회사의 가압수형 원자로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84년에 라인강
상류
의 '라이프슈타트'에서 9백90㎿의 발전능력을 가진 미국 비등수형 원자로로 설비된 원전이 발전을 개시했다.이 원전들의 안전에 관하여 전체적으로 몇가지 점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세개의 오래된 것과 두개의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상류
를 거대한 댐으로 막는 것이다. 한편 남으로 내려가 카스피해로 흘러드는볼가강은
상류
의 지류인 카마강에 댐을 건설한다. 이 두개의 댐은 2㎞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다 수위차도 60 m 정도 밖에 안돼 운하로 이을 수가 있다.이렇게 해서 북극으로 흐르던 페초라강의 물을 카스피해까지 가지고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