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류"(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계의 거대 댐과학동아 l1986년 12호
- 17만5천6백㎾의 수력발전기 12기가 풍부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데, 댐이 건설되면서 그 상류에'나셀'호가 생겨났다.댐을 구축재료면에서 나누면 콘크리트로 축조하는 콘크리트댐과 토석재료(土石材料)를 쌓아올려서 축조하는 필댐(fill type dam)으로 되는데, 아스와 하이댐은 록필댐(rock fill dam) 즉, ... ...
- 추진과 포기의 갈림길에 선 각국의 원전 건설계획과학동아 l1986년 12호
- 이것은 독일 KWU회사의 가압수형 원자로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84년에 라인강 상류의 '라이프슈타트'에서 9백90㎿의 발전능력을 가진 미국 비등수형 원자로로 설비된 원전이 발전을 개시했다.이 원전들의 안전에 관하여 전체적으로 몇가지 점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세개의 오래된 것과 두개의 ... ...
-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 안드레이 사하로프과학동아 l1986년 11호
- 정회원으로 선출되지 못했다. 스탈린은 권력을 굳히면서 소련의 과학기술자들을 사회 상류층의 일부라고 보고 계급투쟁이라는 구실로 수천명의 정상급 과학자들을 수용소로 보냈다. 소련에서 가장 우수한 일부 물리학자 들은 ‘이상주의자’나 또는 ‘적의 아이디어밀수입자’라는 낙인이 찍혀 ...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재미있는 것은 바다해조류인 재갈매기가 한강까지 올라온 사실이었는데, 이는 한강 상류에 많은 댐이 생겨 강물과 민물이 교차됨으로써 물고기의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984년에 관찰된 조류는 46종 3천4백8개체이며, 관찰된 조류는 중대백로가 최우점종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청둥오리 ...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과학동아 l1986년 10호
- 많지 않았을 것이다. 수온은 현재에 비하면 여름에는 낮았고 겨울에는 높았을 것이다. 상류에서 하류에 이르기까지 버들치가 우세한 구역, 갈겨니가 풍부한 구역, 피라미가 우세한 구역, 붕어가 풍부한 구역이 순서를 어기지 않고 배열되었을 것이다. 버들치구역과 갈겨니구역은 현재의 그것들보다 ... ...
- PART ③ 막대한 하수처리수의 방류과학동아 l1986년 10호
- 낮추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권숙표, 한강종합개발준공기념학술대회1986.9.1). 한편 상류의 북한강계의 홍천 가평, 남한강계에 제천 충주 원주 사북 영월 여주 이천 그리고 경안천계의 용인 광주 등은 상당한 인구와 산업체들이 들어 있어 한강본류에 오염부하가 크게 더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 ...
- 대 빙하(大氷河)과학동아 l1986년 09호
- 돌려 다시 걷기 시작했다. 한참 걸어올라가니 아까 보이던 언덕에 이르렀다. 거기서부터 상류쪽의 계곡은 사람 키의 2~3배나 되는 거대한 바위가 군데군데 있고 모래와 자갈로 꽉 메워져 있다. 그런데 모래나 자갈 사이에 반짝반짝 빛나는 부분이 여러곳에 있었다. 울퉁불퉁한 모래자갈위의 큰 ... ...
- 중공 양자강에 1300만㎾의 발전소 건설과학동아 l1986년 08호
- 동시에 주기적으로 범람을 일으키는 양자강의 치수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또 댐 건설로 상류의 수위가 올라가 선박 운항에 좋아져 수상수송능력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삼협댐 건설을 모택동시대 부터의 현안이었다. 근대화를 지향하는 중공에 있어 전력개발은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다. 최근 ... ...
- 하드웨어 개발이 과제과학동아 l1986년 07호
- 그것을 소화할 하드 웨어는 전혀 없는 상태"이다.한 가지 제안으로서 '로버트슨'은'상류'(up stream) 즉 발효단계에서의 제반 연구 결과로 '하류' 즉 생산물을 회수하는 단계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로인해 연구자들은 발효의 심장부라고도 할 수 있는 미생물의 체내를 조사함으로써 ... ...
- 기상재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있으며 낙동강 상류역이 가장 많고, 다음은 한강 금강 영산강 만경강 등 주로 강하천의 중상류 내륙지역에 많다. 이제까지 우박에 맞아 인명피해가 생긴 예를 몇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1983년 8월12일, 서울 경기 전북 경북지방. 사망9명, 부상11명, 건물파손1동 농작물피해 1천8백57정보.②1984년 ... ...
이전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