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면"(으)로 총 1,0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놀이야? 수학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수와북 연구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퍼져나가기 시작했지요. 색소가 색소원인 초콜릿을 중심으로 퍼지는 현상은 잔잔한 수면에 돌을 던졌을 때 파동이 퍼져나가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그런데 서로 다른 색소가 만나는 부분에서 경계가 생겼습니다.“경계는 두 초콜릿의 수직이등분선에 생겨요.”초콜릿 두 개로부터 정확히 같은 ...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아래로 가라앉는 듯 했다. 하지만 2016년 대만 해협 해저터널 프로젝트는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13·5규획, 2016~2020년)’ 요강 초안에 향후 5년간 건설할 주요 고속철 노선 10여 개 가운데 중국과 대만을 잇는 구간이 거론된 것이다. 그리고 지난 8월 6일 중국이 해저터널 ... ...
- 가을에도 즐기는, 서핑은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김 씨는 “큰 파도일수록 와이프 아웃(균형을 잃고 보드에서 떨어져 넘어지는 상황) 뒤에 수면 밖으로 나오기 힘들기 때문에 프로 선수들도 5분가량 숨을 참는 연습을 한다”고 말했다.빅웨이브까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연안에도 큰 파도가 종종 밀려온다. 가령 남해안 지역에 태풍이 접근하면 10m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때까지 작성한 자신만의 아이디어 노트에 대해 적었다. ‘4차원이란 뭘까’ ‘물방울이 수면에 떨어지면 왜 왕관 모양으로 물이 튈까’ ‘어떤 기름이 더 잘 탈까’ 등 엉뚱하거나 재미있는 생각이 들 때마다 글이나 그림으로 기록해 뒀다. 영재학교에 입학한 뒤에는 노트에 적어 뒀던 아이디어에서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잠수사가 수면 위로 빠르게 올라갈 때 생긴다. 수면 위로 올라가면서 수압이 점점 낮아지면 혈액에 녹아있던 질소가 다시 기체로 바뀐다. 급하게 올라오면 폐가 찢어지거나, 공기 기포가 폐를 통해 나오지 못하고 혈관을 막아 피의 흐름을 막는 잠수병에 걸릴 수도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따라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 등 층상구조가 나타난다. 혼합층은 수심 약 300m 이내로 수면에서 가장 가까운 영역을 말한다. 혼합층에서는 바람에 의해 물이 섞이면서 깊이에 관계없이 수온이 약 24도로 일정하다. 일반적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혼합층이 두껍게 발달한다. 따라서 바람이 가장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윌슨 교수팀은 실험실에서 청어를 관찰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청어가 방귀를 뀌기 전, 수면으로 올라와 공기를 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마치 일부러 방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인 듯 말이에요. 또 이런 행동은 청어가 앞을 볼 수 없는 밤이 되면 더욱 잦아졌지요. 윌슨 교수팀은 “청어떼가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정신을 집중했을 때나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나오는 주파수다. 그래서 백색소음은 수면을 도와주기도 한다. 가시광선에서는 여러 색상이 모두 겹치면 하얀색의 백색광이 된다. 모든 색을 포함하는 백색광처럼 백색소음은 모든 주파수를 포함한다. ‘분홍소음’도 있다. 분홍소음은 백색소음과 ...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하자면 악순환입니다. 공부를 효과적으로 하려면 밤엔 일단 자야합니다. 충분한 수면은 장기기억을 만드는 데 아주 중요합니다. 대뇌의 신경세포는 일정시간 이상 계속 자극을 받으면 불응기가 와서 잘 반응하지 않게 되거든요. 잠은 우리의 지친 대뇌 신경세포를 쉬게하는 자기방어 반응이자,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김호영 서울대 기계공학전공 교수의 생체모방기술 강연에 매력을 느꼈다. 김 교수는 수면 위에서 점프하는 소금쟁이로봇 등 생체모방기술을 적용한 흥미로운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중학교를 졸업한 뒤 경남과학고에 진학한 김 씨는 자연스럽게 물리학과 수학에 관심이 커졌다. 원래 재료공학에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