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지표가 높았다. 무리 생활을 하는 침팬지와 보노보는 호기심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고, 주로 홀로 생활하는 보르네오 오랑우탄과 수마트라 오랑우탄의 호기심 수치는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년기가 지난 보르네오 오랑우탄과 수마트라 오랑우탄은 엄마에게서 독립해 낯선 장소를 혼자 ...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LED는 640nm(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 파장대의 적색 LED와 460nm 파장대의 청색 LED를 주로 사용한다. 식물의 광합성에 가장 필요한 빛의 파장대여서다. 그래서 아파트 단지에서 종종 비치는 보라색 조명은 식물 재배를 위해 적색 LED와 청색 LED를 조합한 특수 조명이다. 식물 재배에 인공광이 필요하고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알락꼬리여우원숭이, 북부양털거미원숭이, 짧은꼬리마카크, 침팬지 등에서 관찰됐다. 주로 친엄마가 친자식의 사체를 잡고 다니거나 품에 안고 다니는 행동을 보였고, 기간은 연구마다 다르지만 25일씩이나 들고 다니는 경우도 있었다. 일부 개체는 죽은 몸에 붙은 파리를 쫓거나 털을 고르는 등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배아와 달리, 성체는 이미 만들어진 장기를 성숙시키고 손상되지 않게 유지하는 임무를 주로 맡습니다. 때문에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의 기능도 조금 다릅니다. 성체줄기세포는 장기에 따라 고유의 모양과 기능을 갖죠. 그림을 그릴 때, 큰 틀을 잡는 스케치는 빠르게 연필로 하고 ... ...
-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지구를 둘러서 총 다섯 군데에 OWL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밤에 저궤도를 주로 관측하는 OWL-Net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우주위험연구실 유지웅 선임연구원은 “우주물체에 레이저를 쏴 돌아오는 빛으로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추적시스템을 설치했고, 지금은 낮에도 우주물체를 관측할 수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든다?! 기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위해서, 그리고 어떤 종인지 제대로 동정하기 위해선 버섯이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주로 어떤 영양분을 섭취하며 사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다음 화에서 또 만나요! ※필자소개 박상영(생태사진작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버섯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청년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있다. Q. 곰팡이를 냉동 보관하는 이유는. 우리 연구실은 곰팡이 분류와 생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다른 연구실에서 이 곰팡이들이 깃털이나 부리의 케라틴 성분을 분해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도 있다. 이런 연구는 동물 표본을 만드는 데 고려할 만한 정보를 제시할 수도 있을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자외선으로 관측하면 두 개의 뚜렷한 나선팔이 보인다. 반면 나이 많은 미지근한 별빛 위주로 볼 수 있는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나머지 두 개의 나선팔도 보인다. 관측하는 빛의 종류에 따라 보이는 나선팔이 달라지면서, 네 개가 다 보이거나, 그중 두세 개만 보였던 것이다(참고로 우리 은하 거대한 ... ...
- [디지스트@융복합파트너] “효율적인 연산과 연결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연속적으로 계산한다. 네트워킹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은 전자기파를 사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서로 정보를 전달한다. 즉 Intelligent Computing and Networking Lab은 연산과 정보를 주고받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최초의 실험이었다. 오늘날 과학기구의 활동 영역은 대류권, 성층권을 넘어 더 먼 우주로 확장되고 있다. 2파트에서는 우주를 보는 제3의 눈이 된 과학기구를 살펴본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