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있다. Q. 곰팡이를 냉동 보관하는 이유는. 우리 연구실은 곰팡이 분류와 생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다른 연구실에서 이 곰팡이들이 깃털이나 부리의 케라틴 성분을 분해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도 있다. 이런 연구는 동물 표본을 만드는 데 고려할 만한 정보를 제시할 수도 있을 ... ...
[출동, 슈퍼M] 온도와 체감온도는 어떻게 다른가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3호
것을 말해요. 대기*의 온도를 ‘기온’이라고 하지요. 우리나라에서 기온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단위는 ‘섭씨온도’예요. 섭씨온도는 1742년 스웨덴의 과학자 셀시우스가 만들었어요.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를 0, 물이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100으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칸으로 똑같이 나눈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인지적 소외, 비판적 세계관을 모두 사랑한다. 두 아들이 강제로 주입하는 과학 지식을
주로
누워서 습득한다. 칼 세이건보다 린 마굴리스 쪽에 끌리는 편이다 ... ...
수학을 좋아하고 싶어 수학 노래 만들었어요! 썬더 드래곤 & 상상이상이상길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드래곤힙합 음악을
주로
다루는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크리에이터예요. 2023 세계 수학의 날 이벤트를 위해 노래 ‘경우의 수’를 만들었어요. 2022년 파이송 챌린지에 참가해 우승하면서 수학을 이용해 노래를 만드는 데 관심을 갖게 됐어요. 수학을 주제로 곡을 쓰려고 하니 고등학교 ... ...
[Data Math] 프린스턴대 수학 박사가 금융계에 만들고픈 변화는?
수학동아
l
2023년 03호
고객별 투자성향에 맞게 알아서 돈을 굴려 주는 거예요. 그렇게 하면 투자회사에서
주로
VIP 고액투자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투자 서비스를 소액투자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고객의 시간과 노력을 확 줄여줄 수도 있고요. 그게 현재의 핀트입니다. 서비스 기술 개발 ... ...
[특집] 만화가 AI로 영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달라졌고 완성된 만화의 느낌도 달랐습니다. 힘이 넘치던 시절이니까 화풍도 강했고
주로
강한 힘을 지닌 인물을 그렸죠. 반면 나이가 들면서 선이 좀 단정해졌습니다. 손에 힘이 떨어진 탓도 있고 만화를 그리는 도구가 달라진 것도 있어요. 그런데 근본적으로는 그리고 싶은 내용이나 인물이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예전에는 우리가 작업하는 디지털 자료들을 하드다스크나 USB와 같은 개인 저장장치에
주로
저장했어요.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협력해서 자료를 만들고 편집하려고 해도 따로 작업하고 각자의 저장장치에 접속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웠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이제는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초내열 합금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현미경으로 찾아낸 초내열 합금의 비밀 오늘날
주로
쓰이는 초내열 합금은 니켈에 알루미늄과 코발트를 섞은 합금이다. 이것이 고온에서 강도를 유지하는 비밀은 과학이 발전해 재료의 미세조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되면서 한 꺼풀 벗겨졌다. 앞서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크게 다르지 않은 문제에 매진한다. 이들의 삶은 전통적 의미의 과학자에 가깝다. 후자는
주로
기업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제품을 개발한다. 최근 과학의 연구 성과가 기술로 응용되는 주기가 짧아지면서, 과학과 기술의 구별이 희미해졌다. 나는 이들 역시 과학자라고 생각한다. 직업의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벗어난다. 저자인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지금까지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주로
분석해왔던 리더십을,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생명체의 한 형질로 조명했다. 우리 인간은 지난 몇백만 년간 다른 동물과 독립적으로 진화해왔기에, 다른 동물들의 리더십과 인간의 리더십은 분명한 차이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