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핵융합 기술 “핵융합 발전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1.3MJ(메가줄)의 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레이저
빔
192대를 동시에 쏘아 1.9MJ의 고출력 에너지를 가한 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고 여기서 1.3MJ의 핵융합 에너지를 얻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투입 에너지 대비 생산 에너지로 따지면 효율이 68% 수준이다. ... ...
열전도도 2배 높인 전기차 배터리 방열소재로 시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가능한 선형이온
빔
장비 기술을 개발했다. 이정환 재료연 원장은 “선형이온
빔
장비는 초고주파용 안테나, 경량운송기기, 생체소 임플란트 접합 등 다양한 산업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향후 표면처리 산업의 친환경화와 첨단화에 기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 ...
5G·6G 안테나 시장, 산학협력으로 돌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크리모는 5G 안테나 분야의 신생기업으로 포스텍과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360도
빔
포밍(안테나를 통해 받은 신호를 여러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수신기기에 집중시키는 기술)이 가능한 안테나를 개발했다. 안테나와 같은 핵심 부품의 제한적인 성능과 높은 도입 비용으로 현재 5G ... ...
우주에 거대한 태양광발전소 건설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미만의 태양전지를 넣을 수 있는 초경량 모듈을 만들고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빔
을 통합한 회로를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2017년 칼텍 SSPP 연구진이 개발한 우주 태양광 무선 전력 실험 장치다. 칼텍 제공. SSPP 연구진은 2년 뒤인 2023년 우주 공간에 프로토타입을 발사해 무선 전력 전송 첫 ... ...
5G보다 대역폭 11배 넓은 6G 광대역 솔루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우수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조동호 LG-KAIST 6G연구센터장은 “6G 이동통신 광대역
빔
포밍 핵심 원천 기술 확보로 세계적으로 6G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계기를 만든 것”이라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인공 나뭇잎’ 효율 3배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배경잡음만 제거해 순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조 교수팀은 접속 이온
빔
을 이용해 양자점 주변 구조를 물리적으로 파괴하지 않고 양자광 신호를 약화시키지도 않은 채 배경잡음 신호만 제거하는 데 성공하고 이를 반도체 피라미드 구조의 꼭짓점에 형성된 양자점에 적용했다. 이 ... ...
[랩큐멘터리]철강재료 특성 결정하는 미세조직의 세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철강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간의 연결고리를 찾는다. 고전압의 전자
빔
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인 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철강재료 내부 구조를 샅샅이 살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합금설계와 열처리 공정제어 관련 솔루션을 ... ...
3D프린터로 출력한 환자 맞춤형 인공뼈로 뼈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방식 중 하나인 ‘전자
빔
융용법’을 적용했다. 전자
빔
융용법은 합금 분말을 전자
빔
으로 녹여 임플란트의 모양을 잡는다. 연구팀은 제조한 임플란트를 60세 뼈암 환자에 사용한 결과, 환자는 무릎관절 절제없이 성공적으로 뼈암 치료를 마쳤다. 수술 6주 만에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속기 없이 만드는 강력한 방사광
동아사이언스
l
2021.07.24
것이다. 연구진은 플라즈마 파동을 통해 전자를 가속시키는 레이저 가속기의 전자
빔
으로 간섭성의 바방사선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방사선의 에너지 출력을 약 100배 끌어올리는 데도 성공했다. 이는 연구진이 고안한 기술을 활용하면 대규모 방사광 가속기에서 생성하는 수준의 X선 ... ...
최준일 KAIST 교수, IEEE 닐 세퍼드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저술한 논문으로 상을 받았다. 논문은 밀리미터파를 쓰는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 통신
빔
폭에 따른 무선통신 채널의 특성을 밝혔다. 밀리미터파는 무선 채널 변동성이 심해 차량 간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는데 연구팀은 밀리미터파가 차량 통신 시스템에도 쓰일 수 있음을 처음 보였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