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가동중단 장기화...의료방사성동위원소 수급 차질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뽑아낸 중성자
빔
은 물질 구조를 들여다볼 수 있는 일종의 현미경”이라며 “중성자
빔
생성을 못하면서 관련 연구도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노후화로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하나로와는 별도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새로운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추진중이다. 의료용 ... ...
첫 국산 암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이름은 '아스타틴-211'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연구팀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이 가지고 있는 입자 가속기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알파
빔
을 비스무트의 동위원소인 비스무스-209(Bi-209)에 충돌시켜 아스타틴-211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독자 개발한 분리·정제 장비와 프로그램을 이용해 아스타틴-211을 생산하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 ...
“걸을 때 왼쪽 무릎 더 구부려요”…걸음걸이 분석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데이터를 수집했다. RGB-D 센서는 길이 약 12cm, 높이 약 3cm의 카메라 형태로 적외선
빔
을 사람에 쪼인 뒤 돌아오는 정보를 이용해 머리 위치, 발 위치, 37개 관절 정보 등 사람의 3차원 골격정보를 파악한다. 연구팀은 이 정보를 순환신경망 알고리즘(RNN)에 입력하는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 ...
지하철에서도 5G로 AR 끊김 없이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시연을 위해서는 약 10Mbps의 전송속도가 필요하다. 단말기에 송신 신호를 집중해 보내는
빔
포밍 기술과 지하철이 이동하면서 연결된 기지국이 바뀌는 상황에서도 데이터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핸드오버 기술이 적용됐다. 이 기술은 달리는 지하철에서도 그대로 구현 가능하다. 이날 연구팀은 ... ...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인터넷 기업 원웹과 823억 원 규모 안테나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수백 개의 코어칩을 통해
빔
을 조향하는 평면형 전자식
빔
추적 안테나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저궤도 위성을 추적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통신을 가능케 하는 제품이다. 가정용 통신과 기업 시장뿐만 아니라 향후 항공기·선박·자동차용 등 모빌리티 분야로 확장도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움직이는 ‘스핀홀 효과’가 빛알갱이(광자)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광스핀홀 효과는
빔
분할기나 필터 등 초소형 광학 소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스핀홀 효과 연구는 주로 이동하는 빛의 세기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효율은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광스핀홀을 ... ...
변경,또 변경…기본계획 변경만 3차례 중이온가속기 ‘애물단지’ 전락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오는 8월까지 저에너지 구간의 가속기 구성장치 설치를 완료하고 저에너지 가속
빔
인출 전 단계인 시운전에 들어갈 계획이다. 점검단은 이와 관련 2021년까지 저에너지구간 중심으로 우선 구축하고 시운전에 집중하되 고에너지 가속장치는 선행 연구개발(R&D) 수행 후 장치 제작 및 구축에 착수하는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한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의 전자
빔
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한국 연구진, 원자가 모여 핵 이루는 순간 세계 최초 관찰(종합)
연합뉴스
l
2021.01.29
을 이용해 금 결정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투과전자현미경의 전자
빔
을 받고 방출된 금 원자는 그래픽 박막 위에서 뭉치며 나노 결정을 만들게 된다. 관찰 결과 원자들은 무질서하게 뭉친 비결정상 구조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상 구조를 가역적으로 반복하며 결정핵을 ... ...
日·美 업체는 개발 안 하는 투과전자현미경 국산화 성공
2021.01.21
30kV 보급형 투과전자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의 전자
빔
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어 기초과학 연구뿐만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