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지원연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해 세계적 분석기관으로 도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핵심 부품인 기체 클러스터 이온
빔
장치를 국내 처음 개발했다. 외국산 이온
빔
과 비슷한 정밀도를 확보해 2025년까지 유기물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체 시료 이차이온 질량이미징 분석이 가능한 고성능 질량분석기를 개발한다. 소재와 부품 분야 대표 성과로는 안전하면서도 자유롭게 변형이 ... ...
[과학게시판]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주관기관 기초과학지원연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8
투입해 2027년 6월까지 고성능 가속장치와 산업 우선지원
빔
라인 3기를 포함한 초기
빔
라인 10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사업단장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1일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디지털서비스 ... ...
[영상+]이스라엘 군, 공중에서 레이저 쏘아 드론 격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6.22
21일 보도했다. 이스라엘의 드론 격추용 레이저 시스템은 약 100kW 출력의 레이저
빔
을 발사한다. 이번 격추 실험은 고도 900m 상공에서 약 1km 거리 목표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스라엘 국방부가 공개한 실험 영상을 보면 세스나의 경비행기 세스나 캐러밴의 옆면에 장착된 레이저 시스템의 모습이 ... ...
UNIST, 대상에 따라 관찰 방법 바꾸는 나노 광학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1.06.17
조절해 산란 등에 의한 파면 왜곡을 상쇄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탐침에 쏘는 레이저
빔
의 파면이 고정된 기존과 달리 탐침 모양에 맞춰 파면을 조절해 15㎚(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분해능으로 편광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했다. 또 정렬 방향이 다른 단일 분자를 구분해 측정함으로써 ... ...
2031년까지 6G 저궤도 위성통신 검증할 14기 위성망 구축…한화시스템 2030년 이후 2000기 위성망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위성 서비스와 초고속 위성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이다. 프랑스 유텔샛이 처음 개발한
빔
호핑은 넓은 지역에서 꼭 필요한 항공기와 선박에만 신호를 쏘는 기술로 위성 주파수 대역의 낭비를 줄일 획기적 기술로 꼽힌다. 총개발비 4118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지난해 6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연구에는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의 전자
빔
을 물질에 투과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 ... ...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3년 만에 정상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31 생산을 마쳤다. 하나로가 성공적으로 정상 가동하면서 하나로 내 설치된 다양한 중성자
빔
실험장치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하나로의 다음 101주기 가동 일정은 22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다. 원자력연은 정지 기간 설비를 점검하고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과 재료 조사를 위한 장치를 원자로에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06.01
연구팀은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용수철 끝에 매달고 레이저
빔
을 마치 집게처럼 써서 일정 범위 내에 가두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른 정보엔진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정보엔진은 150년 전 영국 ... ...
중국 "인공태양 1억2000만도 101초 유지 성공"...앞선 한국 기록과 단순 비교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1억 도 이상 올리는게 중요하다”며 “중국도 KSTAR처럼 이온 온도를 높이는 중성입자
빔
가열장치를 갖고 있지만 아직 제 성능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자 온도를 높이는 것이 의미가 없지는 않다. 전자 온도가 오르면 플라즈마 내부에 전류가 쉽게 흐를 수 있어 장시간 운전에 ... ...
노벨상 4번 받은 중성미자…미·일 투자 더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지고 있음을 처음 확인했다. 그보다 앞서 1988년에는 중성미자
빔
을 통해 자연계의 기본입자인 쿼크와 기본 힘인 약력을 밝혀낸 과학자들이, 1995년에는 중성미자라는 입자의 존재를 처음 확인한 연구가 노벨상을 받았다. 2002년에는 가지타 소장의 스승인 고시바 마사토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