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거리"(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마 곰이 사람 사는 곳까지 내려온 슬픈 이유2016.06.28
- 사람이 아닌 동물의 세계에서도 새끼를 보호하고 사랑하는 엄마의 사랑은 그 어떤 두려움도 이기게 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 스웨덴, 노르웨이, 오스트리아의 공동연구진이 ‘영국왕립학회보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짝짓기 시기가 되면 앞뒤 가리지 않고 달려드는 수컷들로부터 새끼를 보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pixabay 제공 필자는 지난해 ‘Proof(프루프)’라는 술의 과학에 대한 책을 번역하다가 흥미로운 구절을 봤다. 즉 증류주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11세기 송나라 시인 소동파의 글에 나온다는 것이다. 즉 소동파의 ‘물류상감지(物類相感志)’라는 책에 “술에 불이 붙으면, 푸른 천 조각으로 덮어 껐 ...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2016.06.05
-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초박막 ‘메타렌즈(meta-lens)’의 표면 이미지가 실렸다. 빛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 안내라도 하는 듯 서로 다른 각도로 꽂혀 있는 핀들은 일정한 패턴을 이루고 있다. 그 위로는 렌즈를 통과한 빛이 한 지점(노란색)에 모여 있다. 메타렌즈는 굴곡이 ... ...
- 저와 차 한잔 하실래요~ 2016.05.15
- MID 제공 처음에는 차(茶)에 대한 과학책인 줄로 알고 집어 들었다. 제목이 ‘티타임 사이언스’였으니 말이다. 표지에도 오미자 차와 꼭 닮은 빛깔의 차가 형형색색의 꽃잎들 위에서 찰랑이고 있었으니까. 하지만 속아 넘어간 것이었다. 필자인 강석기 과학 칼럼니스트가 쓴 지난 책들의 제목은 ...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관측 성공2016.03.06
-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지구에서 약 134억 광년 떨어진 은하 ‘GN-z11’(표시 부분). - 미국항공우주국(NASA)·유럽우주국(ESA)·예일대 제공 우주에 떠 있는 천체 관측 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이 역사상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외계 은하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예일대, 네덜란드 레이던대 ... ...
- “너비 100km 초대형 혜성, 지구를 위협한다”팝뉴스 l2015.12.24
- 팝뉴스 제공 거대한 혜성이 지구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되어 22일자 디스커버리 뉴스 등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거대한 혜성들은 센터(켄타우루스)라 불리는데 태양계 외부 영역을 불안정한 궤도로 여행하고 있으며, 목성이나 토성의 궤도와 교차하기도 한 ...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완성한 과학자는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5.11.24
- 1915년,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3쪽 짜리 짧은 논문에 담아 발표했지만 사실 자신이 발표한 논문에 담긴 방정식이 얼마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발견 뒤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관련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에 오늘날의 ‘상대성이론=아인슈타인’과 ... ...
- ‘듣고 또 듣고’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2015.11.01
- ■ 음악 본능(크리스토프 드뢰서 著, 해나무 刊) 우리는 왜 음악에 빠져들까. 저자는 답을 찾기 위해 뇌과학에서 진화생물학, 해부학, 음악학, 심리학, 교육학까지 여러 분야를 넘나들다가 뇌 안의 ‘음악 본능’을 발견했다. 식욕이나 성욕처럼 인간은 음악 본능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 ...
- 冊으로 연휴 즐기기… 정서와 문화로 바라본 과학2015.09.26
- 추석은 가을의 시작을 알린다는 의미가 크다. 낙엽 지는 가을이 왔으니 한적한 공원에 앉아 책 한 권 읽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을은 사실 독서에 좋은 계절이 아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가을보다 여름, 겨울에 책을 더 많이 본다. 전통적으로는 1월, 3월, 7월, 12월을 ...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 김정윤 충남대 교수(왼쪽)와 강우규 연구원 - 충남대 제공 소식(小食)이 건강에 좋고 장수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상식이다. 국내 연구진이 상식을 과학적으로 풀어 이유를 밝혀냈다. 김정윤 충남대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써투(Sir2) 단백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