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거리"(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대석]세계수학자대회 유치 주역 박형주 조직위원장동아일보 l2014.01.27
- [동아일보] “수학올림픽 우리라고 왜 못치르나… 그 오기가 나를 이끈 동력” 22만5000km…. 지구 다섯 바퀴 반…. 8월 한국에서 열리는 지구촌 최대 수학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ICM)’ 박형주 조직위원장(49·포스텍 수학과 교수)이 지난해 ICM을 홍보하기 위해 비행기로 세계 곳곳을 누빈 거리다. 13 ... ...
- 손으로 5개국어를 배운다고?동아사이언스 l2014.01.26
- 손과 뇌 - 바다 제공 ◆손과 뇌(구보타 기소우 著, 바다 刊) 장애를 극복한 여성이자 사회운동을 실천한 헬렌 켈러는 어렸을 적 앤 설리번 선생에게 ‘손’을 통해 모든 사물을 배우고 익혔다. 설리번 선생이 어린 켈러의 손에 찬 물을 적시고 ‘water’라는 철자를 적어 알려주었다는 일화가 유명 ... ...
- 과학의 역사는 천재가 아닌 대중이 만드는 것!동아사이언스 l2014.01.19
- ◆한없이 작은 한없이 위대한(존 L. 잉그럼 著, 이케이북 刊) 교보문고 제공 지금과 같은 지구를 만든 주인공은 누구일까.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와 물도 ‘이것’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다. 바로 미생물이다. 우리 일상은 미생물의 천국이다. 우리가 자주 먹는 요구르트, 우유, 생선, 샴페 ... ...
- 역사를 바꾼 철도의 자기 고백동아사이언스 l2014.01.12
- 반니 제공 ◆ 퀀텀스토리 (짐 배것 著, 반니 刊) ‘양자역학’은 상대성이론과 함께 20세기 과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발견이지만, 고전역학 개념과 상반되는 부분이 많아 전공자가 아니면 과학자들도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다. 물성물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물리학 발전에 공 ...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동아사이언스 l2013.12.09
- ‘신데렐라’와 ‘콩쥐팥쥐’. 지금처럼 실시간으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를 알 수 있기는커녕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의 존재조차도 몰랐을 시절부터 전해져 내려왔을 유럽의 동화 ‘신데렐라’와 우리나라의 동화 ‘콩쥐밭쥐’는 이야기의 구성이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계모 구박에 파티( ... ...
- 이상형도 아닌데 왜 그 사람에게 끌리지?동아사이언스 l2013.11.17
- Yes24 제공 ◆친절한 과학책(이동환 著, 꿈결 刊) “이상형과 결혼한 사람은 몇이나 될까?” 많은 청춘 남녀들은 저마다 꿈꾸는 이상형이 있다. 그런데 간혹 이상형과는 거리가 먼 사람에게 끌리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유가 뭘까. 사람들이 정작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시각보다 후각에 의존 ...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11.17
- 제가 살고 싶은 집은 - 교보문고 제공 의·식·주. 노출이 미덕이 되는 이상한(?) 세상이지만, 옷이 있기 때문에 노출이 화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배고프면 먹어야 한다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다. 아무리 잘 입고 잘 먹더라도 일정하게 거주할 곳이 없어 풍찬노숙을 한다면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 ... ...
- 충돌 직전 쌍둥이 블랙홀 첫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3.11.12
- 2개의 은하가 병합중인 장면. 각각의 핵에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하며, 2600광년 떨어져 있다. -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제공 블랙홀이나 은하가 충돌한 후 거대해진다는 이론을 증명할 수 있는 '쌍둥이 블랙홀'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우종학 교수를 포함한 국제 공동연 ... ...
- [책의 향기]‘제 눈에 안경’은 뇌의 장난입니다동아일보 l2013.10.24
- [동아일보] 뇌의 쾌감회로 작동원리 쉽게 풀어 내… “1mm 벌레도 짜릿함 느껴” ◇고삐 풀린 뇌/데이비드 J 린든 지음/김한영 옮김/312쪽·1만7000원/작가정신 아무리 ‘제 눈에 안경’이라지만 새로운 연애를 시작한 사람들은 ‘행복한 바보’ 같다. 남들 눈에는 그저 고릴라처럼 보이는 남자를 마냥 ...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9.30
- 더글러스 호프스태터가 직접 그린 호프스태터 나비. 자기장 아래 결정에 있는 전자 에너지의 띠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수평축은 전자 에너지, 수직축은 자기장의 세기다. 허용 가능한 전자 에너지의 띠가 프랙탈 패턴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제공 “나비는 날지 않는다. 그 ... ...
이전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