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핀란드에선 포항 지열발전 방식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핀란드 헬싱키에 설치된 심부지열발전(EGS) 지열정의 모습이다. 핀란드가 한국이 관리에 실패한 지열발전을 실시간 관측과 운영에 반영하는 실시간 관리를 통해 규모 2 이상이 유발지진이 일어나지 않게 통제하는데 성공했다. 에스티원 딥 히트 오와이 프로젝트 제공 핀란드가 포항 지역에 설치된 ... ...
발기부전 치료제 '타다라필' 심장 잘 뛰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이 약물은 체내에서 PDE5 효소가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물질인 cGMP를 분해하는 것을
억제
한다. 그 결과 장기의 평활근이 이완돼 장기로 들어가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해 발기부전과 전립선 비대증 증상을 치료한다. 연구팀은 양을 페이스메이커를 통해 강제로 심부전을 일으킨 다음, 발기부전 ... ...
새로운 인플루엔자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기업에 기술이전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타미플루는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스라는 효소의 기능을
억제
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다. 하지만 타미플루는 개발된 지 20여 년이 지나며 약에 내성을 갖는 바이러스가 등장하고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성수 화학연 원장은 “두 기관이 3년간 ... ...
국내 연구팀, 암세포 자살 유도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변이된 탓에 항암제가 듣지 않아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암
억제
유전자인 p53의 기능이 파괴돼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하지만 최근 p53의 기능을 복구시켜도 이미 발생한 암은 치료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연구팀은 암세포가 비정상적으로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04.29
상위 조절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창우 성균관대 의대 교수는 “펠리노1의 작용을
억제
하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아 DNA 복구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며 “DNA 손상과 연관된 유전질환이나 면역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을 찾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 ... ...
5000만명 숨진 ‘스페인독감’ 독성 비밀 101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사실이었다. 결국 스페인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는 인터페론 베타의 분비가 강하게
억제
됐고, 바이러스 제거가 지연되면서 강한 독성에 노출돼 결국 다수가 사망에 이르게 됐다. 연구팀은 1918 스페인 독감의 PB1-F2 단백질이 인터페론 생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DDX3와 결합해 분해시킴으로써 ... ...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이산화탄소로부터 70% 이상의 에틸렌을 얻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부산물 발생을
억제
하기 위해 구리산화물이 전기에너지에 의해 환원될 때 그 구조가 작은 결정 크기를 갖도록 유도했다. 이를 통해 형성된 4~5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구리산화물 구조는 표면 반응성이 크게 향상되는 ... ...
스트레스 받을 때 폭식하는 건 인슐린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높아지면 신경세포가 인슐린을 인식하는 게 오히려 무뎌진다"며 "결국 식욕을
억제
하는 데 실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인슐린이 편도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면서 "이외에도 인슐린이 뇌의 어느 다른 영역에 작용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 ... ...
1990년대 후반~2013년 북서태평양 태풍 20%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지역 기후가 장기적으로 변해 태풍 발생을 증가시키는 엘니뇨가 감소하고 태풍 발생을
억제
하는 라니냐가 증가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2014년 이후에는 태평양 10년주기진동이 다시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했다고 밝혔다. 엘니뇨 발생이 증가하고 라니냐 발생이 감소하고 있다는 의미다.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아래). 사진제공 KAIST 반대로 맛있는 음식이나 이성 쥐 등이 주어지면 CRF 활성이 빠르게
억제
됐다. CRF 세포가 부정적 또는 긍정적 자극에 대해 양쪽으로 반응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김진은 연구원은 “CRF 호르몬의 구조가 밝혀진지 40년이 지났지만 느린 내분비 조절물질로만 알려져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