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이 찾아낸 조현병 유전자만 300개. 아이 때부터 잘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그는 “최초의 조현병 약은 수면제로 개발됐고 항우울제로 쓰이는 모노아민산화효소
억제
제(MAOI)도 원래 결핵 치료제로 발명됐다”며 “조현병 치료법에 대해 계속 연구하다 보면 이런 ‘운 좋은 발견(Serendipity)’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아지 구충제로 암 치료? 약사회·정부 "검증되지 않은 약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암센터에서 일할 당시에도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에 메벤다졸이 암 성장을
억제
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한 논문과 비교해보면 펜벤다졸이 메벤다졸로 바뀌었을 뿐 세포주와 쥐를 활용한 실험이라는 점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 ... ...
유전자 발현
억제
하는 마이크로RNA의 표적 예측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과정 중 RNA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전자 발현을
억제
하는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RNA가 비슷한 일을 하는 품질관리단백질과 협력해 어떤 RNA를 없애야 할지 결정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을 비롯해 동식물의 유전정보는 DNA에 담겨 있다. 세포핵 안에 있던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등과 결합하여 신속한 감염을 돕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O형 혈액형은 이러한 결합을
억제
하는 기능이 있다. 혈액형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내성과도 관련된다. 위장관 세포에서 발현되는 ABO 항원이 병원체의 감염과 관련된다. 특히 A형과 B형 혈액은 비브리오 콜레라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
2019.09.21
이런 유전자를 ‘차폐 유전자(masking gene)’라고 부르는데,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
하는 강력한 우성 유전자다. 다만 이런 유전자를 가진 고양이는 청각 장애를 앓을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개는 털 색깔과 성별이 크게 관련이 없다. 대신 털 색깔이 수명이나 질병과 관련된다. ... ...
기술자립으로 克日 돌파구 찾는 文대통령…지식기반 혁신 '고삐'(종합)
연합뉴스
l
2019.09.20
200만호 특허증 및 100만호 디자인 등록증 수여식'을 열었다. 200만번째 출원 특허인 종양
억제
바이오 기술 '엔도좀 탈출구조 모티프 및 이의 활용'의 발명자와 특허권자, 100만번째 등록 디자인인 '스마트 안전모' 창작자와 디자인권자를 청와대로 불러 문 대통령이 직접 특허증과 디자인등록증에 ... ...
젊은 유방암 환자, 난소 기능 조절해 재발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87.5%, 5년 전체 생존율은 97.8%로 나타났다. 난소 기능 비
억제
그룹에 비해 난소기능
억제
그룹의 생존율이 높다는 뜻이다. 노우철 과장은 "위암이나 간암의 경우 우리나라의 의술이 이미 국제적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나, 유방암 치료에서는 아직도 서구권의 가이드라인을 쫓아가는 형국 ... ...
유방암 재발하는 이유는 '카니발리즘'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다시 세포분열을 시작해 암을 전이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잭슨 교수는 "이런 현상을
억제
하는 방법을 찾으면 화학요법으로 치료율이 낮은 유방암 환자를 지금보다 훨씬 높은 효율로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생물학회지' 17일자에 발표됐다 ... ...
ADHD 단번에 진단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정확도가 85%에 이르렀다. 이 알고리즘은 특히 뇌에서 중요 자극을 선별하거나 반응
억제
를 담당하는 전전두엽의 구조적 결함을 잘 찾아낸다. 이 결함은 ADHD 환자의 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ADHD 환자가 부주의하고 과잉행동이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이유다. 연구를 이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뉴런의 활성을
억제
하는 역할을 한다. 음주로 엔돌핀 수치가 높아져 GABA 뉴런의 활성이
억제
되면 도파민 뉴런의 활성이 높아져 보상회로에 불이 켜져 기분이 좋아진다. 그런데 반복적으로 알코올에 노출되면 항상성 반응이 일어나 보상회로가 하향조정된다. 술을 마시지 않으면 β-엔도르핀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