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재생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실제로 쥐를 이용해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
한 뒤 피부의 상처 재생 속도를 비교한 결과 상처 회복 속도가 빨랐다. 박 교수는 “향후 자가면역질환자들의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면역 분야 ... ...
암세포 공격력 4배 향상된 나노입자-NK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 유방암에 걸린 쥐에 나노입자-NK세포를 넣은 결과 종양 성장을
억제
하는 능력이 4배나 더 향상됐다. 또한 나노입자에는 자성을 띠는 아연-철 산화물과 근적외선에 활성화하는 형광 분자가 들어 있어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체내에서 NK세포가 어디에 있고 어디로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멜리틴-펩타이드를 주입한 쥐는 암세포 성장이 효과적으로
억제
된 것은 물론 종양 성장에 중요한 혈관 신생 역시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정상 조직의 대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양 내 대식세포만 유의하게 줄어들고, 이를 통해 암세포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들면 세포핵 모양이 변형되며 늙기 때문에 라민을 연구하면 인간 노화를 이해하고
억제
하는 물질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경북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라민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관찰했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태양보다 100경(京) 배 밝은 빛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 ...
출연연 똘똘 뭉쳐 낙동강 녹조 발생 3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협동연구기관으로 참여시켜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연구팀은 이날 녹조 발생을
억제
하는 수류확산장치와 녹조제어를 위한 녹조제거 선박, 실시간 녹조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 반잠수정 등을 시연했다. 수류확산장치는 흐름이 멈춘 하천의 물을 빨아들여 프로펠러로 다시 뿜어내 물 흐름을 ... ...
사망률 30% 패혈증 치료제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과다 분비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팔미트산 생성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
하는 물질을 개발하면 백혈구가 세균을 박멸하면서도 패혈증을 일으키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심장마비 '골든타임' 늘려주는 새 치료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등 만성 상처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장마비가 일어난 직후 약 20분 동안 괴사를
억제
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심장협회지' 19일자에 발표됐다 ... ...
이식된 줄기세포 생명력 높이는 단백질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유전정보가 들어있는 핵 안으로 이동해 당 대사 조절이나 활성 산소종 축적
억제
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깨운다. 그러나 어떻게 허혈유도인자가 세포핵 안으로 이동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세포 내 물질 수송을 담당하는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이 산소 공급 등이 원활하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 정기적으로 면역수치를 검사해 기준 이하일 때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
하는 약을 먹어야 하는 처지로 남은 생을 보내야 한다. 여기에 위로받기는커녕 행여 감염 사실이 알려질까 노심초사하는 차가운 현실이 삶을 더 힘들게 한다. 이들의 간절한 소망은 몸속 HIV를 완전히 ... ...
바이러스 단백질이 자궁경부암 유발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HPV의 E7 단백질이 E6 단백질과 함께 체내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과 세포주기를
억제
하는 단백질을 방해해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E7 단백질이 체내에서 세포가 이상증식하는 것을 막는 단백질을 방해한다는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