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큰 차이가 있다.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캅사이신은 물에 안 녹고 기름에 녹는 지용성 분자다. 따라서 물을 마셔봐야 구강세포의 수용체에 붙어 자극 신호를 계속 보내는 캅사이신을 떼어내기 어렵다. 물론 기름을 머금고 있으면 되겠지만 매운 상태를 벗어나려고 기름을 마실 수는 없는 노릇이다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나와있는데요, 간단히 열거해보겠습니다. 첫째, 자기복제 분자에서 원시세포 속의 분자군으로, 둘째, 독립적 복제자에서 염색체로, 셋째, 유전자와 효소로서의 RNA에서 DNA와 단백질로, 넷째,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로, 다섯째, 무성생식적 클론에서 유생식식적 개체군으로, 여섯째, 원생생물에서 ... ...
- 근대화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갑각류 및 작은물고기를 잡아먹는 육식어(肉食魚)이다물 또는 용액속에 녹아 있는 분자상태의 산소 물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나 호기성 미생물은 이것에 의해 산화분해되기 때문에 용존산소의 부족은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 아니라 유기물 등이 잔류하여 물의 오탁을 가져오게 된다해수가 ...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실험실에서 유망 벤처가 탄생신경네트워크 연구실에서 진행중인 온도 감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이제 걸음마를 막 시작한 단계다. 김 교수는“전세계적으로도 이와 관련된 연구논문이 거의 발표되지 않은 아주 새로운 연구분야다”며“신경생리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 ...
-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과학동아 l2003년 11호
- 표면을 자세히 관찰하면 클립과 닿은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분자가 표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서로 잡아당겨 클립을 밀어 올리는 것이다 ...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이해는 구성요소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다”며 “현대 나노기술도 원자와 분자의 특성을 밝히고 활용한다는 점에서 돌턴은 나노기술의 최초 연구자”라고 말했다.이번 행사도 돌턴을 통해 미래 세계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평가되는 나노기술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린다는 목적도 ... ...
- 갑자기 사라진 김봉한과 봉한학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갑자기 사라지게 됐다. 그 이유는 학문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분자유전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봉한학설에서 주장하는 DNA의 존재와 역할에 의문이 제기되고, 경락 연구가 깊어질수록 기존 생물학 이론과 마찰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또한 그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구형체에 힘을 가해 실크단백질 주위의 물분자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일단 물분자가 실크단백질로부터 제거되면 실크단백질 안에서는 기다란 소수성 영역끼리 수소결합이 형성된다. 수소를 매개체로 형성되는 수소결합은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실크는 마치 병풍처럼 튼튼하고 안정된 ...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자기권에서 온 대전 입자들이 얼음으로 뒤덮인 위성 표면에 부딪쳐 수증기와 다른 분자를 방출시켰을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갈릴레오는 행성처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위성 가니메데의 위력을 확인했다. 사실 가니메데는 자신의 자기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위성이다. 목성의 다른 ...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과학동아 l2003년 11호
- 거의 전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학자들은 다양한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때, 분자운동을 조사할 때, 화학적 반응비율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 그리고다른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때에 NMR을 사용한다. 오늘날 NMR 기술은 물리학, 생물학, 의학 등 학문분야에서없어서는 안될 방법이 됐다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