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그럴까?!▶▶▶ 캔 조각을 가열하면 왜 움직일까?온도가 올라가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
나 원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그 사이의 간격이 늘어난다. 그 결과 물질이 팽창하는 것이다. 빡빡한 유리병에 꽉 조여져 있는 금속 뚜껑이 뜨거운 물에 넣었다가 꺼내면 잘 열리는 것도 같은 이치다.▶▶▶ 왜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되고 융해의 엔트로피는 저하하여 그만큼 녹는점이 상승한다더욱이 폴리아미드에서는
분자
간 수소결합도 존재하기 때문에 녹는점이 한층 더 높아진다 방향족 탄화수소를 합성하는 반응 방향족 탄화수소는 석유의 나프타유분(溜分)을 원료로 만들며 그 방법은 두 가지로 대별된다벤젠고리가 두 개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4.2K의 액체헬륨의 경우 약 2K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그러나 온도가 계속 내려가면 액체
분자
의 운동이 줄어들어 증발시킬 기체의 양도 적어지기 때문에 강제 증발도 불가능하게 된다. 이럴 경우 헬륨의 동위원소 중 원자량이 3인 헬륨3을 이용하면 온도를 더 낮출 수 있다. 헬륨3은 보통의 헬륨(헬륨4,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쿼크와 1개의 반쿼크가 잡혀있는 상태인지, 또는 중성자 주위에 K중간자가 붙잡혀있는
분자
와 같은 상태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또한 이 입자가 이론에서 예측하는 펜타쿼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입자의 다른 성질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에 대한 많은 이론적·실험적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 ... ...
석유 탐사 장치가 암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에탄은 석유나 천연가스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파제트 교수가 만든 센서는 공기
분자
1조개 중 에탄이 10-20개만 있어도 감지할 수 있다.파제트 교수는 석유를 탐사하는 지질학자들과 이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 오만의 사막지대를 구획별로 나눠 에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땅 밑에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자기공명영상(MRI)은 쓸모가 없다. 이 기술은 수소원자에 반응해 작동하지만 인체에서 물
분자
형태로만 나타나는 수소를 건조한 미라에서 찾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물론 미라 처리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전유물은 아니다. 방부처리 풍습은 멕시코와 안데스까지 널리 퍼져 있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레이더에 사용되는 진공관이 대량생산되기 시작했다. 또 외부에서 진공장비 안으로 기체
분자
가 얼마나 들어갔는지를 헬륨을 이용해 측정하는 장비도 개발됐다.1960년대 미국과 옛소련은 우주개발 분야에서 경쟁하기 위해 기초과학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 진공용기가 만들어졌고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매우 작은 소자나 센서는 미세한 오염 입자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 즉 원자나
분자
단위까지 제어할 수 있는 극청정 진공 환경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극소형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첨단 신기술을 연극배우에 비유한다면 극청정 진공기술은 무대장치기술과 같다. 극청정 진공기술이 우선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부른다.표면의 물
분자
들은 반쪽만이 수소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속의 물
분자
들보다 불안정하다. 따라서 같은 부피라면 표면을 최소화하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데, 이 힘이 표면장력이다. 철사고리에 물막이 생기는 것도 이런 형태가 표면적이 가장 작기 때문이다.반면 지상에서는 물의 막을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암연구소에서 2년 동안 박사후 연구원으로 암연구를 했습니다. 그 뒤 1987년 3월 부산대
분자
생물학과 조교수로 귀국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연구를 하려니까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학과가 생긴지 3년째라 연구비도 실험실도 대학원생도 없었지요.”김 교수는 하는 수 없이 자신이 박사과정 때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