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축구장 크기 평면에서 0.2㎜의 요철도 잡는 측정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최대 직경 300㎜의 기판에서 약 0.1㎛(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두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0.7㎛ 수준의 형상 측정 정확도를 지닌다. 축구 경기장 크기의 기판에서 0.2㎜ 이하의 굴곡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한 수준이다. 강 ... ...
서울대 공대 학생과 동문이 뽑은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과학동아
l
2016.12.29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는 이미 도래해 있다. 이미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미터
, 스마트카,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스마트팩토리 등 여러 기기나 환경에 ‘스마트’를 붙인다. 기기와 인터넷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술 덕분이다. 홈 IoT 기기와 서비스도 늘고 있다. 디지털 도어록이나 창문 ... ...
2
미터
넘는 신비의 아마존 물고기
팝뉴스
l
2016.12.29
물고기는 놀랍다. 몸이 엄청나게 크다는 점이 우선 눈에 띈다. 사진속 이 메기는 길이가 2
미터
가 훨씬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메기는 ‘신비주의 물고기’다. 주민들도 아는 것이 별로 없다. 어느 정도 오래 사는지 그리고 어느 크기까지 자라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마을 잔치를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공세포막을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수 밀리
미터
(㎜) 크기의 대면적으로 제작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관찰을 통해 개발된 세포막이 불순물이 끼지 않은 순수한 상태라는 점까지 확인했다. 최명철 교수는 “인공세포막을 이용하면 세포막이 가진 ... ...
공사장에서 발견한 거대한 지네
팝뉴스
l
2016.12.26
일으킨 이미지입니다. 지네로 보입니다. 그런데 거대하기 이를 데가 없습니다. 크기는 1
미터
가 넘고 몸통도 두껍습니다. 물리면 큰 부상을 입을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거대 지네는 외딴 공사장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땅속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괴물 같은 존재들이 많이 살고 있다고 봐야 ... ...
용인가? 거대한 물고기 ‘화제’
팝뉴스
l
2016.12.26
정체는 앨리케이터 가아 피시로 알려져 있다. 미국 남부와 중남미에 사는 물고기로 최대 6
미터
까지 자라며 입이 악어처럼 생겼다. 일부 네티즌들은 사진 속 물고기가 앨리게이터 가아가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주둥이가 악어 모양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자세히 보면 이 비운의 물고기는 거대 장어를 ...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를 23일자에 발표했다. 100년 전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 ... 조절했다.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거리에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고, 400㎚(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 ...
비단뱀과 싸우는 대형 박쥐 ‘화제’
팝뉴스
l
2016.12.23
장면을 촬영한 영상은 안도를 준다. 호주에서 촬영된 영상 속 박쥐는 날개는 펴면 1
미터
가 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외 네티즌들은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노트북에서 나오는 열로 다시 노트북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고려대 제공 이렇게 제작한 소자는 열을 전기로 변환하는 성능이 14.2mW/m·K²(밀리와트 퍼
미터
켈빈제곱)으로 기존 유기물 소자보다 100배 이상 좋아졌다. 가는 나노선을 이용했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자유로워져 전기전도도는 벌크용 실리콘 소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지만, 열전도도는 5분의 1 ... ...
의료용 나노물질 안전하게 전달… 무독성 인공세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리포좀 - Wikimedia Commons 제공 ● 이 연구는 이런 의미랍니다 여러 가지 물질을 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 크기로 가공하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성질이 생겨납니다. 별다른 독성이 없는 ‘은’도 나노크기로 가공하면 여러 가지 인체 독성이 생겨나지요. 이 때문에 ‘나노물질의 독성’을 주로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