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배 더 빠른 미래형 전자소자 나왔다
2016.11.28
광전소자의 성능을 실리콘 전자소자 수준 이상으로 높이려면 우선 소자의 크기를 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줄여 집적도를 높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빛의 회절(빛이 장애물에 부딪혀 퍼져나가는 현상) 때문에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평면 반도체 물질로 ... ...
비행기 옆에서 날아가는 사람들
2016.11.28
드 프랑스’와 함께 하늘을 날아간 것이다. 제트맨들은 곡예 비행기로부터 불과 수
미터
떨어져 있었다고 한다. 몸으로 방향을 조절하는 제트맨들로서는 아주 위험했다. 실수가 있으면 비행기와 공중 충돌할 수도 있었다. 청량감을 주는 영상 속 상황은 보기보다 더 위험한 스턴트였던 것이다. 150kg의 ... ...
300
미터
줄 위를 걷는 남자
2016.11.28
호주 태즈메이니아에 있는 케이프 필러. 줄은 바다에서 300
미터
높이이고 줄의 길이는 60
미터
라고 한다. 라이언 로빈슨이라는 이름의 간큰 남자는 저 위험한 줄타기를 하면서 사진까지 촬영했다. 해외 네티즌들은 아찔함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준 그에게 박수를 보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하늘에서 서핑하는 사람들
2016.11.25
프랑스 베르코르 산에서 촬영된 영상은 속도감과 고도감을 동시에 선물한다. 사람들은 600
미터
높이의 줄 위에서 파도타기를 즐기듯 날아간다. 최고 시속 75km의 속도를 맛보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어느 시점이 되면 뛰어내린다. 베이스 점프다. 즉 이제부터는 낙하산을 이용한 다이빙을 즐기게 되는 ... ...
썩는 반도체 나올까, 종이로 반도체 기판 만들었다
2016.11.25
문제 역시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의 초소형 반도체 소자를 종이 위에 결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존 전자회로는 대부분 실리콘 소재의 기판 위에 구성됐다.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표면을 ... ...
기아차와 아우디의 충돌 사고 ‘눈길’
2016.11.24
방향을 잃었고 뒤에 따라오던 아우디 A6이 들이받으면서, 리오는 반이 잘렸다. 앞부분이 50
미터
정도 튕겨나갔다. 기적이나 다름없는 사실은 리오의 운전자를 포함해 심각한 부상자가 없었다는 점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20
미터
높이 투명한 수영장
2016.11.24
있는 후베르투스 호텔에 새로 만들어진 풀은 길이가 25
미터
이고 지상으로부터 높이는 20
미터
이다. 풀장의 바닥이 투명한 것이 이채롭다. 풀장이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수영장 이용자들은 땅바닥을 보는 아찔한 체험과 함께 돌로미테의 아름다운 풍광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 편집자주 ... ...
차세대 TV ‘퀀텀닷’ 더 얇고 더 저렴해진다
2016.11.23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퀀텀닷은 입자 하나의 크기가 10~15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정도인 발광(發光) 소재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이 100%에 가까운 것이 장점이다. 낮은 전기사용량을 유지하면서도 획기적인 화질 개선이 가능해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 ...
가장 무서운 수영 튜브
2016.11.23
‘캥거루’라는 미국 회사가 아마존에서 판매하는 튜브는 바퀴벌레를 닮았다. 길이 1.8
미터
의 튜브에 누워 있으면, 바퀴벌레 위에 사람이 누운 꼴이 된다. 대단히 큰 바퀴벌레를 본 딴 튜브를 만들 생각을 하다니. 충격적인 발상이다. 아마존의 상품 리뷰를 보면 30달러짜리 이 튜브는 해외 네티즌 ... ...
공기 속 ‘초미세 바이러스’ 찾아내는 법 알아냈다
2016.11.21
액체 속에 녹아 들어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1㎛(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 분의 1m) 이하의 아주 작은 바이러스는 채집하기 어렵고, 바이러스 시료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장 교수팀은 정전기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끌어들이는 새로운 ‘전기식 농축기’를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