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130kg 거대 오징어 ‘화제’
2016.11.10
가깝다. 인도양에서 건져 올린 위 오징어의 정확한 종명은 알려지지 않았는데, 길이가 2
미터
가 넘고 무게는 130kg이었다고 한다. 수십 명의 허기진 배를 채울 수 있는 크기다. 수개월 전 잡힌 오징어의 사진이지만 아직도 SNS에서 회자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알프스 아찔한 전망대 ‘화제’
2016.11.09
쾌감’을 주는 이미지인 것이다. 촬영지는 프랑스 동남부의 샤모니 몽블랑. 해발 1천
미터
가 넘는 이 마을에는 특별한 전망대가 있다. 유리로 되어 있는데, 건물 밖으로 툭 튀어 나와 있다. 이곳에서는 알프스의 비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고 한다. 해외 네티즌들의 반응은 두 갈래다. 저곳에 서 보고 ... ...
이상 현상, 지름 1
미터
눈덩이 수천개 발견돼
2016.11.09
만의 18km 해안이 수 천 개의 눈덩이로 뒤덮였다. 작은 것은 테니스 공 크기이고 지름 1
미터
에 달하는 것도 있다. 대단히 희귀한 현상이라고 해외 언론들은 전한다. 러시아 남북극 연구소 소속 과학자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반쯤 녹은 눈이 바람과 파도 등에 의해 구르면서 이런 구체 모양이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메모리(memory)’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다.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나노
미터
크기의 비활성 메모리 칩이며 여러 개를 연결하기에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 이런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 ...
귀 없는 깡충거미가 소리를 듣는 방법은?
2016.11.08
몸 길이의 600배가 되는 곳의 소리를 듣고 반응한다는 얘기가 됩니다. 사람으로 치면 1킬로
미터
가 넘는 곳의 소리를 듣는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다른 동물들처럼 전형적인 귀와 고막이 있는 것도 아닌데 이러한 청력을 지녔다는 것이 놀랍지 않나요? Bernard DUPONT(W) 제공 그렇다면 깡충거미는 ... ...
방금 구입한 차에서 뱀이 나와 ‘깜짝’
2016.11.04
있던 개의 다리를 오렌지 색 뱀이 감싸고 있는 것을 봤다는 것이다. 뱀의 길이는 1.5
미터
정도였다. 경찰과 차주 커플은 뱀을 찾아봤지만 보이지 않았다. 할 수 없이 차주는 차를 몰고 집에 갔다. 내부를 뜯었다. 그런데도 보이지 않았다. 차 어디엔가 숨어 있다고 차주 커플은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 ...
LA 최고층 ‘335m 압도적인 셀카’
2016.11.03
있는 ‘월셔 그랜드 타워’의 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 작업자들이다. 1099피트 (335
미터
) 높이의 빌딩은 로스앤젤레스 최고층 빌딩이 된다. 작업자들은 현지 시간 토요일 그들이 올린 첨탑의 꼭대기에 올라가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작업자들의 자부심이 풀풀 풍기는 분위기다. 볼수록 오금 저리고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초고성능 가스센서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신소재인 이산화 텅스텐을 3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얇은 막으로 만들어 극미량의 화학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를 만들었다. 이산화 텅스텐은 그래핀처럼 2차원(평면)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반도체 성질을 가지고 있고, 얇게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공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시금치 잎 뒷면에 바이오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수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나노입자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각종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머티리얼즈’ 31일자 온라인판을 통해 밝혔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지뢰나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렇게 작동한다”
2016.11.02
인접한 다른 형광체로 형광을 전달하는 세기나 수명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2~1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의 가까운 거리에서 일어나는 정밀한 구조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연구결과 Cas9 단백질은 먼저 가이드 RNA와 결합한 다음, 가이드 RNA가 잘라야 할 DNA에 표적 부위에 결합했을 때 다시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