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뉴스
"
본
"(으)로 총 3,909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중국 연구진이 베이징 우주비행통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창어 4호의 착륙 과정을 지켜
본
장면을 녹화 중계했다. 이어 신화통신 등 다른 관영 매체들도 창어 4호가 찍은 달 뒷면 사진을 공개했다. 발사 당시부터 생중계했던 창어 3호 때와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역사상 처음 시도하는 도전인 ... ...
“젊은 연구자 중심의 활성화로 제2도약” 새해 맞은 과학기관장들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규하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도 경남 창원
본
원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지난해 우리는 전기가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인 ‘Endustry(KERI+Industry 4.0)’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며 “우리 스스로가 기관의 주인이라는 의식과 함께 투철한 책임감으로 거센 ... ...
무시무시 공포의 셀카 현장
팝뉴스
l
2019.01.02
스마트폰도 못쓰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렇게 무서운 아기 사진은
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세계에서 가장 큰 지름 500m의 구면전파망원경인 중국의 ‘톈옌(天眼)’이 내년 9월부터
본
격적으로 가동된다. 세계 과학자들은 톈옌을 이용해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한편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필리핀 루손섬 등 ... ...
"달 착륙은 거짓, 지구는 평평하다" 음모론에 빠진 스포츠 선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간 차이가 없었으나 9일이 지난 시점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영화를
본
집단이 영화를 안
본
집단보다 연합군에 대해 호의적이었다. 호블랜드 교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출처에 대한 기억이 사라져 정보의 신빙성과 상관없이 메시지의 내용만 기억하게 된다”며 “이런 과정을 통해 신빙성이 낮은 ... ...
내 나이 8살, 비로소 산타 진실을 알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있다. 한 응답자는 9살 때 “수학과 물리적 지식, 아이들의 수와 지구의 크기를 종합해
본
결과 산타는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영국의 한 응답자는 8살 때 산타가 가난한 국가에 식량을 전달해 주지 않는 걸 보고 진상을 알았다고 답했다. 일부 응답자는 물류 체계를 깨우치며 ... ...
산타클로스 어디쯤 왔나…63년 맞은 산타 추적 서비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추적해보니 지금 북극에서 남쪽으로 오고 있다”고 답한 것이 계기가 됐다. 이를
본
슈프 대령의 부하 장교가 미국 대륙에 들어서는 정체불명의 항공기를 적어놓는 보드에 산타클로스 사진을 붙였고 CONAD 측은 이듬해부터 AP와 UPI 등 뉴스통신사 등에에 산타를 추적하고 있다고 알렸다. CONAD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나홀로 성탄절, 파티를 시작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22
프로젝터. LG전자(F) 컴퓨터 화면을 크게 확대해 하얀 스크린에 비추는 ‘프로젝터’를
본
적 있나요? 학교 수업에서 많이 쓰이지요. 요즘엔 무게가 0.5kg도 안 되는 ‘미니 프로젝터’가 나와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쓸 수 있게 됐어요. 내 방부터 야외 캠핑장까지 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 ... ...
우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까
2018.12.21
8의 역사적인 방송 바로보기. 빈 캔으로 만든 트리에 숨은 사연은? 인류가 우주에
본
격적으로 진출하며 우주에서 더 오랜 시간을 안전하게 머무는 게 과제가 됐습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는 아폴로 계획이 끝나고 남은 로켓인 새턴V를 개조해 스카이랩을 제작했습니다. 길이 17.5m, 지름 6.7m,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연결된 컴퓨터가 분석해 부변의 혈관 유무를 즉시 알린다. 11명의 환자를 상대로 실험해
본
결과 환자의 뇌 속 지름 500㎛ 이상인 혈관을 97.7%의 정확도로 감지했다. 맥러플린 교수는 “이 연구는 실시간으로 뇌 검사 중 혈관을 OCT로 찾아낸 최초의 사례”라 말했다. 임상 실험을 주도한 크리스토퍼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