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뉴스
"
본
"(으)로 총 3,90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년부터 PC·노트북에서도 얼굴로 간편결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수형 ETRI 정보보호연구
본
부 기술총괄은 “향후
본
기술을 현재 개발 중인 블록체인 아이디 관리 기술과 접목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는 블록체인상에서 FIDO2 기술을 이용한 고보안성 사용자·기기 인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
지하에서 화성 생명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한 물질이 아닌 황을 기반으로 한 물질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DCO의 일원인 일
본
해양지구과학기술국 후미오 이나가키 연구원은 "암울하고 힘든 조건 속에서도 지구 생태계는 끊임없이 진화했다"며 "지하 생명체에 대한 지식을 넓히는 것은 다른 행성의 거주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것이 가능했다. 유방암과 전립선암, 대장암 세포 200개의 DNA를 대상으로 시험해
본
결과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진은 다양한 암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임상 시험을 확대할 계획이다. 트라우 교수는 “매우 저렴하고 간단한 방법이라 암 진단에 쉽게 적용될 수 있을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과학계의 유명 인사나 상징물에서 힌트를 얻었다. 일
본
의 ‘후지산’이나 이탈리아의 ‘콜로세움’처럼 페르미 연구에 참여한 국가의 명소가 별자리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다른 별자리들도 감마선 연구와 관련되어 있다. ‘고질라’ 별자리는 입에서 방사능 열선을 ... ...
中 아무도 못 가
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키운 적은 있지만 달에서 식물을 키우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창어 4호는 착륙지인
본
카르만 크레이터 주변에서 달 뒷면 지질층과 토양의 구성성분, 지하수 등도 탐사할 예정이다. 방사선 측정을 통해 대기층이 없는 달 표면과 태양 활동 간의 상호작용을 밝힐 단서도 수집한다. 이번 임무에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기자회견장을 물들였다. 하지만 그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당당히 마주했다. 필자가
본
아놀드 교수의 모습 중 가장 행복한 모습이었다. 그의 사무실 문 옆에 붙어있는 작은 카드가 새삼 생각나는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냈다’고 적혀 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동물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
2018.12.08
대해 상담할 수 있는 상담전문가를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또 함께 반려동물의 생을 지켜
본
수의사 같이 경험이 많은 전문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나면 남는 것이 후회와 미안함이듯,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사람들의 마음에도 후회와 미안함이 ... ...
달 뒷면에 사상 첫 착륙선…中 ‘창어 4호’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같기 때문이다. 달의 뒷면을 관측 영상을 통해 처음
본
것은 1959년이다. 그러나 이후 59년 동안 달 뒷면에 탐사선이 착륙한 적은 없었다. 여러 대의 탐사선이 달에 보내졌지만 모두 앞면에 착륙하거나 달 궤도를 돌며 달 뒷면을 멀리서 관측했을 뿐이다. 달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떠올렸다고 한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아 종을 유지하고 있는 오릭스를
본
작가는 곧바로 카메라를 들어 기록을 남기기로 결심했다. 로버트 가르시아 로아/영국왕립학회 제공 마이크로이미지 부문 우승작 ‘돌고 도는’. 쥐의 기생충인 ‘헬리그모소모이데스 폴리자이러스’의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로봇으로 간질이는 실험도 했는데 이때 실험 참가자는 간지럼을 타지 않았다. 눈으로
본
로봇의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로봇도 예상을 벗어나도록 속도나 범위를 계속 변화시키면 그땐 간지럼을 탔다. 뿐만 아니라 나를 간질이는 대상이 나와 어느 정도 친밀한지, 그리고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