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
00
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힘들다. 그러나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되리라는 점은 확실하다. 인간의 상상력은 광대한 이 우주의 상상력에 비하면 너무나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공개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정부가 비밀리에 지원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2
0
년 안에 다가올 화성 유인탐사에서 우주인 생존을 위한 비법이 무엇일지 눈여겨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PART2.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고갈로 넘어지는 일 없이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해내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박진영_imaum
0
217@naver.com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
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존재를 예언했다. 바로 부피가
0
이고 밀도가 무한대를 향해 수축하는 블랙홀이다. 그런데
0
과 무한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어쩌면 지금까지 블랙홀의 존재를 알아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3. 건축물을 설계할 때는 건물이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구해야 한다. 이때 미분이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그냥 여섯 가지 숫자 가운데 아무거나 나올 거다. 하지만, 주사위를 6
000
번 던지면 대략 1
000
번은 1의 눈이 나온다. 전자가 보여주는 여러 개의 줄무늬는 확률적 파동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뜻이다.전자는 입자지만 스크린을 향해 날아가는 동안 파동처럼 행동한다. 이때의 파동은 확률파동이다. 자,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분모를 살펴보자. 먼저 분자에 있는 ln2의 값은 대략
0
.693이다. 분모에 있는 y=ln(1+r)은 r=
0
일 때 접선의 방정식이 y=r이므로 ln(1+r)≒r로 대입할 수 있다. 그런데 다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금리 r이 커지면 ln(1+r)과 r의 오차가 커지며,
0
.693보다
0
.72를 적용한 계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기대와 기쁨의 빛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제가 독일에서 잠시 방문 연구를 하고 있던 9
0
년대 중후반이었어요. 바로 옆에 실험장치가 있는 게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죠. ‘이 사람들은 진짜 손에 잡히는 물리를 할 수 있겠구나’하고요. 다른 나라에 가서야 그런 기회를 얻는 것과는 하늘과 땅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트랙D로 KAIST팀이 추가로 출전할 것을 감안하면 2
0
14년말에는 모두 3개의 한국팀이 2
00
만 달러의 최종 우승 상금에 도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오준호 KAIST 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충분한 경험을 얻었으니 내년 말에는 더 좋은 성적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내년에는 8개의 ... ...
와이파이보다 1
00
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눈에 보이는 곳까지만 통신이 가능하다. 강태규 실장은 이런 기대를 던졌다.“1
0
년 안에 가시광통신을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될 겁니다. 생활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조명들이 전부 통신장비로 바뀐다고 상상해보세요. 가시광통신이 상용화되면 전화와 인터넷이 처음 발견됐을 때와 맞먹는 엄청난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환경 조건의 실험실에서 팝콘을 조리할 때, 터지지 않고 남아 있는 팝콘의 수(N)는 N=N
0
e-kt라는 식을 따른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터지지 않고 남아 있는 팝콘이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자연이 만드는 경이적인 찰나“마른 하늘에 웬 날벼락?”맑은 하늘에서 번개가 내리치는 것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