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인버터가 없다.흔히 사람들은 직류가 에디슨의 유일한 실패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120년이 지난 지금 에디슨의 직류가 다시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을 보면, 에디슨은 단지 시대를 너무 앞서간 천재였을지도 모른다. 직류와 교류가 아닌 다른 전기가 발명되지 않는 한, 최종 승자의 자리는 결국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열은 1이다. 뱀이나 쥐는 한 단계를 더 거치면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나머지 성분은 모두 0이다. 두 행렬 A와 A2을 더한 행렬에서 1행의 합은 3이다. 독수리(1)는 직접적으로 뱀과 쥐를 먹고, 간접적으로 또 쥐를 먹는다. 따라서 1행의 합이 3이라는 사실은 독수리의 직간접적인 먹이가 모 두 세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동안 관측할 계획이다.암흑에너지 탐사는 우주에서도 이뤄진다. 유럽우주기구(ESA)가 2020년 발사할 예정인 유클리드(EUCLID)는 암흑물질과 은하의 분포를 관측해 우주 팽창의 역사와 거대 구조의 형성을 탐사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도 암흑에너지 탐사 위성을 우주에 올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 ...
- 과학기술위성 3호, 관측임무 시작과학동아 l2013년 12호
- MIRIS)과 소형영상분광기(COMIS)가 탑재됐다. MIRIS엔 국내 최초로 위성에 탑재한 직경 80mm 천문용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달려 있어 우리은하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 과학자들에게 제공한다. 지구관측카메라는 산불탐지, 지표 온도변화 모니터링에 쓰이며, COMIS는 한반도 대기오염을 감시하고 하천 수질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전체 공간에 비해 좌석 수가 너무 많은, 나쁜 공연장의 대표입니다. 현재는 좌석이 3000석 정도로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1인당 부피가 6~7m3입니다.청중은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 만석일 때와 비었을 때 음을 흡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청중 수가 달라져도 음악의 질을 최대한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정화는 진실이 된다. 그들의 현실 왜곡 작업은 은색 천구 항성계를 중심으로 해서 반경 3500광년까지 진행되었고 계속 확장되어 전 우주에 퍼질 것이다.그런데 더 무서운 생각이 불현듯 떠올라 내 몸 전부를 휘감았다.정화파들이 정말로 세계의 본질과 물리를 재규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면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셋을 만나 보자.1 어느 각도로 보나 유선형인 돌고래나는 보통 물속에서 시속 60~100km까지 헤엄친단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를 버금가. 굉장하지? 내가 이렇게 빠른 이유는 ‘날렵하게 생겼기 때문’이야. 무슨 뜻이냐고? 우선, 몸이 유선형이지! 그리고 지느러미들도 모두 유선형이란다.몸이 ... ...
- [W5 코드 브레이커] 끊임없이 진화하는 최첨단 암호 기술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존의 암호 체계와 다른 점이다.지문의 경우, 똑같은 지문 패턴이 만들어질 확률이 640억 분의 1 정도로 매우 낮다. 또한 홍채는 생후 18개월 뒤에 완성되고 나면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지문과 홍채를 이용하는 암호 시스템은 이처럼 사람마다 다른 지문의 패턴과 홍채의 모양, 색깔,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았다. 맬서스가 인구론을 주장할 당시는 산업혁명 초기로, 20세기 산업이 이렇게 발달할 줄 몰랐기 때문에 틀린 예측을 한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했고, 그 결과 인구 증가율보다 식량 생산 증가율이 더 높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한편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후 수십 년 동안 누적된 결과기 때문이다.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0%이상은 1000년 이상 대기에 남을 것이라고 한다. 과연 지구의 미래는,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PART 2.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