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재의 시대를 논하다 1990년 하나은행 전신인 한국투자금융에 입사한 유 본부장은, 20여 년 동안 하나금융그룹에서 여러 자리를 거치며 주요 직책을 담당해왔다. 그중 지난 3년간은 하나은행의 계열사 하나아이앤에스에서 그룹 IT 서비스 업무를 총괄 담당하며, 은행을 벗어나 경영 관련 업무까지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후 수십 년 동안 누적된 결과기 때문이다.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0%이상은 1000년 이상 대기에 남을 것이라고 한다. 과연 지구의 미래는,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PART 2.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암흑물질 탐색 계획을 발표했다. 호이어 소장도 인터뷰에서 “암흑물질 관측을 위해 20년 동안 실험기기의 성능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는 입자를 찾기 위해 수십 년을 보내 온 물리학자들은, 이제는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으며 어쩌면 기존에 알고 있던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주파수를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관박쥐는 8만3000㎐, 돌고래는 2000㎐부터 20만㎐ 정도의 초음파를 사용한다. 돌고래의 소리는 일부가 가청주파수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끼익, 끼익’들리기도 한다. 초음파를 그 자리에서 가청주파수로 변조해 소리를 들으면서 동물의 행동과 초음파의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셋을 만나 보자.1 어느 각도로 보나 유선형인 돌고래나는 보통 물속에서 시속 60~100km까지 헤엄친단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를 버금가. 굉장하지? 내가 이렇게 빠른 이유는 ‘날렵하게 생겼기 때문’이야. 무슨 뜻이냐고? 우선, 몸이 유선형이지! 그리고 지느러미들도 모두 유선형이란다.몸이 ... ...
- [W5 코드 브레이커] 끊임없이 진화하는 최첨단 암호 기술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존의 암호 체계와 다른 점이다.지문의 경우, 똑같은 지문 패턴이 만들어질 확률이 640억 분의 1 정도로 매우 낮다. 또한 홍채는 생후 18개월 뒤에 완성되고 나면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지문과 홍채를 이용하는 암호 시스템은 이처럼 사람마다 다른 지문의 패턴과 홍채의 모양, 색깔,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과정에서 얼마나 빠른 속도로 혈당이 올라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포도당을 100으로 했을 때 비교한 수치다. GI지수가 낮은 음식은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기 때문에 오히려 식용억제 및 포만감까지 주어 당뇨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다이어트에도 유리하다.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고구마에 관심을 ... ...
- 수학캠핑 - ➎ 마술적인 숫자 배열, 마방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보였다. 이로써 오일러 가설의 증명 가능성이 높아지는 듯했으나, 1959년 수학자들은 10차 직교라틴방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어 n=6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n차 직교라틴방진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오일러의 가설은 틀린 추측으로 끝나게 됐다.박경미홍익대 수학교육과에서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글자를 이해하는 것(읽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다. 문자는 인간 세상에 나타난 지 5000년 밖에 안 된, 인간의 뇌에게는 낯선 최신 발명품이다.뇌의 기본 ‘코드’는 문자가 아닌 음성이다. 즉 인류의 오래된 뇌가 문자를 이용하기 위해선 이를 일일이 해독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런 일련의 ... ...
- 미스터리 수학! 펜로즈 계단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z$축이 만나는 점을 원점 O라고 하자. 그러면 가장 높은 계단과 $z$축이 만나는 점 P는 (0, 0, $z$)가 된다. 그런데 $z$축과 같은 방향에서 점 P를 바라보면 $z$축이 압축돼 사라지면서 원점 O와 점 P 모두 (0, 0)이 된다. 즉 한 점이 된다.3차원 입체는 높이와 폭, 그리고 깊이를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