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띄는 변화는 깊이 정보를 가진 3D 사진이죠. 과거의 지도는 유적의 대략적인 위치와 특징 정도만 담을 수 있었다면, 최근에는 정확한 3차원 정보를 담은 지도와 함께 무덤을 구성하는 돌의 크기, 무덤의 공정 과정 등 다양한 정보가 담긴 도면을 그릴 수 있거든요. 이런 여러 사람의 고민과 노력을 ... ...
- [스타쌤 수학공부 꿀팁] 수학으로 소통하고 수학으로 관계 맺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하더라고요. 어떤 학생은 정리를 너무 잘 해서 ‘내가 이렇게 잘 가르쳤나’ 싶을 정도였어요.”이 선생님의 공책 정리는 개념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펜으로 글씨만 따라 적는 것이 아니라 색종이를 오려 붙이기도 하고 작도를 하며 증명을 하기도 해 공책을 작성하고 나면 잘 정리된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어려워해요. 학자들이 “로봇이 쳐들어오면 어쩌냐고? 그럼 문을 닫아라!”고 농담할 정도지요. 책상에 놓인 책 하나를 잡을 때도 책의 질감, 강도, 위치,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수많은 책 잡기 전략을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데 로봇이 해내기엔 그 양이 너무 많아요. 큰 고민 없이 좋은 전략을 찾는 ...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엄~청 큰 크기의 연어야.우리는 사람과 달리 수컷과 암컷의 수명이 꽤 달라. 수컷은 30년 정도밖에 못사는 반면, 암컷은 30~40살까지 출산을 하고, 이후 100살 무렵까지 살 거든. 하지만, 사람과 비슷한 점도 있어. 보통 동물들은 죽기 전까지 새끼를 낳고 살잖아. 하지만 범고래, 들쇠고래 등 일부 이빨을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수증기를 통해 그냥 밖으로 배출되지요. 이 때문에 일반적인 보일러는 열효율이 80~85% 정도랍니다. 즉 15~20%의 열은 난방에 쓰이지 않는 거예요. 그런데 최근 개발되는 보일러는 수증기를 통해 배출되는 열을 재활용해서 다시 물을 데우는 데 사용해요. 이 방식을 이용해 보일러의 열효율은 94%까지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3마리이며, 이 중 쥐가 73.5%(273만9198마리)로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쥐는 임신 기간이 3주 정도로 짧고 한 번에 새끼를 10~14마리 낳아 실험동물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실험에 사용할 쥐는 병원체 감염 위험이 없는 특별한 환경에서 관리해야 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에게 고마워하면서도 미안해하는 마음이 그대로 전달됐습니다. 여러분, 이 정도 설명이면 우리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는 건 충분히 알겠죠? 2020년은 우리의 해라고 하니 제가 더 열심히 발로 뛰며 우리와 인간의 화합을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세대 황금쌀은 1세대보다 약 23배 많은, 쌀 1g당 36.7μ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했다. 이 정도면 밥 한두 공기도 하루 권장섭취량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 doi: 10.1038/nbt1082 먹을 수 있는 면화, 카로티노이드 풍부한 고구마황금쌀이 특정 성분을 생산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했다면, 생산성을 높이거나 외부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림자를 드리워서 진행을 방해한다는 설정이 있긴 하지만, 항성이나 거대 행성 정도에 관한 이야기다. 둘을 조합해서 초공간에 진입하기 전에 엄청나게 가속하는 구간이 있다고 설명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이렇게 강력한 무기를 왜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았는지에 관한 문제가 남는다. 이 외에도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준을 세워 관찰 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관찰 평가는 수업에 참여한 정도와 산출물을 기준으로, 보고서 평가는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초점을 맞춰 문제를 제대로 해결했는지를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 과학교사의 TIP. 좋은 평가를 받으려면? A~E 등급 중 두 번째로 높은 점수인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