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통해 남극의 얼음이 전체적으로 높이가 1m 정도 감소하면 한반도 근처의 해수면은 38~42c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안 모양과 도로는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있죠. 또 실제로 대비하는 데 사용하려면 정확성과 신뢰도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따르는 건 인간뿐만이 아니야. 침팬지랑 쥐, 늑대, 그리고 우리 강아지들도 DNA 메틸화 정도로 생물학적 나이를 가늠할 수 있어. 하지만 생물마다 시계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는 차이가 있었어. 인간들은 다른 생물들과 자기들의 시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내고 싶어했지. 그래서 아이디커 교수는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를 해낸 건 1965년 스위스 수학자 장 피에르 시들러였어. 이 증명은 책 한 권에 이를 정도로 길고 어렵지. 그럼 4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은 어떤 조건을 가질까? 대부분의 연구자는 덴 불변량을 변형해서 사용해. 덴 불변량은 3차원에서 차원이 2만큼 차이나는 모서리(1차원)의 길이와 이면각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 그러면서도 ‘아직 다른 사람들이 풀지 못한 문제’ 정도가 좋은 문제에 대한 기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중요한 건 단순히 유명하고 의미 있는 문제가 항상 ‘좋은 문제’는 아니라는 건데요. 예를 들어 ‘리만 가설’의 중요성을 의심할 수학자는 없을 겁니다.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00마리에게 주고 있으며, 일주일에 1000kg의 먹이를 소비하지요. 독수리 식당을 열고 15년 정도는 재정적으로 어려웠지만, 지금은 제자들과 지방자치단체, 관계기관 등이 도움을 주고 있어서 나아졌지요. Q 독수리들이 공격하진 않나요?사람들이 잘 모르는데 독수리는 사체만 먹어요. 사냥을 하는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발해 판매하기도 했다. 이 보드는 지면에서 30cm가량 뜬 상태에서 시속 20km로 6분 정도 작동했다.2018년 8월 프랑스 발명가이자 전 제트스키 챔피언인 프랭키 자파타는 직접 개발한 호버보드를 타고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영국 해협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사진). 이 호버보드는 5개의 작은 터보 엔진을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일을 시킬 수가 없어서 또 문제가 되겠죠. 이런 상상 속 로봇의 실현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작품을 집필하는 약 1년 동안에도 기술이 빠르게 발전한 탓에 수시로 글의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했어요. 몇몇 아이템은 미래의 기술이라고 상상했는데, 책이 편집되는 사이에 실현된 경우도 있었죠.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꽂습니다. 어디든 놓고 발사할 수 있도록 받침대도 만들었습니다. 치킨 발사기가 어느 정도 모양새를 갖췄습니다.긱블 크루가 모두 모여 시사회를 하기로 했습니다. 긱블의 메이커들은 작품 하나가 완성되면 모든 긱블 크루 앞에서 시연을 합니다. 작품 이름은 치킨 발사기지만, 시연은 모양이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독일은 성적 커트라인을 1.0(최상)~4.0(최하)으로 매기는데 아헨공대 기계공학과는 3.7 정도다. 그래서 그 유명한 아헨공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이때만 해도 대학 생활은 순탄하리라 생각했다. “지금 양옆에 친구를 보세요. 그중 한 명은 다음 학기에 이 자리에 없을 수도 있습니다.”입학식 때 한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등의 특수효과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아카데미 특수효과상을 수상했다. 어떤가. 이 정도면 스타워즈 시리즈를 관객들이 생생하게 즐기는 데 수학이 큰 공을 세웠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번에 개봉한 최종편을 보는 독자들은 곳곳에 어떤 수학이 숨어 있는지 생각해 보자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