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발해 판매하기도 했다. 이 보드는 지면에서 30cm가량 뜬 상태에서 시속 20km로 6분 정도 작동했다.2018년 8월 프랑스 발명가이자 전 제트스키 챔피언인 프랭키 자파타는 직접 개발한 호버보드를 타고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영국 해협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사진). 이 호버보드는 5개의 작은 터보 엔진을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일을 시킬 수가 없어서 또 문제가 되겠죠. 이런 상상 속 로봇의 실현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작품을 집필하는 약 1년 동안에도 기술이 빠르게 발전한 탓에 수시로 글의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했어요. 몇몇 아이템은 미래의 기술이라고 상상했는데, 책이 편집되는 사이에 실현된 경우도 있었죠.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세대 황금쌀은 1세대보다 약 23배 많은, 쌀 1g당 36.7μ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했다. 이 정도면 밥 한두 공기도 하루 권장섭취량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 doi: 10.1038/nbt1082 먹을 수 있는 면화, 카로티노이드 풍부한 고구마황금쌀이 특정 성분을 생산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했다면, 생산성을 높이거나 외부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림자를 드리워서 진행을 방해한다는 설정이 있긴 하지만, 항성이나 거대 행성 정도에 관한 이야기다. 둘을 조합해서 초공간에 진입하기 전에 엄청나게 가속하는 구간이 있다고 설명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이렇게 강력한 무기를 왜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았는지에 관한 문제가 남는다. 이 외에도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따르는 건 인간뿐만이 아니야. 침팬지랑 쥐, 늑대, 그리고 우리 강아지들도 DNA 메틸화 정도로 생물학적 나이를 가늠할 수 있어. 하지만 생물마다 시계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는 차이가 있었어. 인간들은 다른 생물들과 자기들의 시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내고 싶어했지. 그래서 아이디커 교수는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를 해낸 건 1965년 스위스 수학자 장 피에르 시들러였어. 이 증명은 책 한 권에 이를 정도로 길고 어렵지. 그럼 4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은 어떤 조건을 가질까? 대부분의 연구자는 덴 불변량을 변형해서 사용해. 덴 불변량은 3차원에서 차원이 2만큼 차이나는 모서리(1차원)의 길이와 이면각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 그러면서도 ‘아직 다른 사람들이 풀지 못한 문제’ 정도가 좋은 문제에 대한 기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중요한 건 단순히 유명하고 의미 있는 문제가 항상 ‘좋은 문제’는 아니라는 건데요. 예를 들어 ‘리만 가설’의 중요성을 의심할 수학자는 없을 겁니다.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억 명에게 정보가 전달된다. 서로 겹치는 지인을 감안하더라도 이런 식이면 전 세계 인구 정도는 쉽게 커버할 수 있을 것 같다.이렇게 한 단계가 늘어날 때마다 연결되는 사람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연결된 다수(전체)의 문턱값을 넘어서는 순간이 생긴다. 바로 사회에서 ‘상변화’가 ...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이동 경로를 나타낸 지도만 보면 육상동물이 이동했다고 착각할 정도로, 오직 육지로만 이동해요. 바다나 호수를 건너지 않지요. 육지는 낮 동안 햇볕에 의해 데워진 공기가 위로 이동하는 ‘상승 기류’가 잘 발달해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에요. 수리류는 양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떨어져도 깨지지 않는 달걀?! 달걀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에어백을 터뜨리게 설계한 이유도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지요. 물체가 받은 충격의 정도인 ‘충격량’은 물체의 질량과 이동 속도에 비례해요. 그래서 자동차와 자전거가 같은 속도로 벽에 부딪히면, 질량이 큰 자동차의 충격량이 더 커서 벽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어요. 그래서 기자단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