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d라이브러리
"
싹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09
분화가 일어나는데,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므로 잎으로부터 줄기 끝에 있는
싹
으로 어떤 자극인자(刺戟因子)가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高)에너지 입자를 이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가속기 기종으로는 양성자(陽性子) 싱크로트론이 대표적인것이고, 미국의 시차고 근교의 바타비아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09
409석 규모의 대형 입체 영화관이 있다. 태양열 로봇이 자신의 몸에 뿌리를 내린 새
싹
에서 에너지를 얻어 전쟁으로 파괴된 자연을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 ‘트리 로보’(Tree Robo)를 상영하고 있다. 2005년 일본 아이치엑스포 한국관에서 상영돼 극찬을 받았던 작품으로 현재 전기에너지관에서만 볼 수 ... ...
미래의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부른답니다. 오염 물질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매우 좋아요. 자동차 안도
싹
바뀌어요. 지금은 사람이 직접 운전해야 하잖아요. 미래에는 자동차가 인공지능을 갖고 있어요. 목적지만 불러 주면 알아서 척척 원하는 곳까지 갈 거예요. 그럼 사람을 무얼 할까요? 편안하게 바깥을 바라봐도 되고 ... ...
종기가 사람 잡네
과학동아
l
200608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부작용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침 맞으면 가려움이
싹
피부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이 가려움이다. 가려움은 침으로 치료할 수 있다. 침 치료가 마취를 비롯해 통증을 억제한다는 연구는 많다. 그런데 사실 가려움증과 통증은 신경생리학적으로는 비슷한 현상이다. 두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
같은 따뜻한 열대바다에 뿌리를 담그고 살지요. 번식할 때가 되면 저는 제 몸에
싹
을 틔워요. 몸에서 어느 정도 자란 새끼나무는 때가 되면 바닷물로 떨어져 바다 밑의 땅에 뿌리를 내리게 되지요. 그러면서 점점 영역을 늘려 가는데 저희 때문에 열대 지방의 해안선이 매년 바뀔 정도라니까요. 사실 ... ...
11세 때 담배 피우면 상습 흡연 가능성 2배
과학동아
l
200607
sleeping effect)로 설명했다. 날씨가 추우면 잠자듯 가만히 있다가 따뜻한 봄이 되면
싹
을 틔우는 식물처럼 흡연 욕구가 계속 잠복해 있다는 것이다.피들러 교수는 “11세 때 흡연을 하면 부모의 흡연 여부나 성별, 인종, 경제적 수준에 상관없이 상습 흡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며 “금연은 조기교육이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06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있고, 콩과 식물인 Vicia ativa 의 새
싹
에서 나온다감미료의 하나 정식이름은 L-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식품으로 단맛이 설탕의 180배,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L-아스파라긴(asparagin)산과 L-페닐알라닌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03
뻘뻘 흘리며 산에 올라 샘에서 물을 떠 마신다. 갈증이
싹
가신다. 그런데 샘에서는 어떻게 물이 계속 솟아날까.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뒤 아주 천천히 다시 땅위로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하에 스며든 물이 바로 지하수다. 땅속에는 어느 곳에나 물이 있다. 그래서 지하수를 ‘숨겨진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02
· 황색 등 여러가지가 있다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하며 큰 포기가 되지 않도록 해마다
싹
을 다 잘라 작은 포기를 만든다 태양면의 일부가 갑자기 밝게 빛나면서 폭발하는 현상인 플레어가 발생하면 그 직후에 지구에서는 일조반구의 전리권을 전파하는 단파대 전파의 강도가 급격히 약해지고 심할 ... ...
가을 밤송이가 입을 벌린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0
즐겨 먹는 굵은 밤은 먹기 좋게 개량한 종이라 토종밤과는 달리 땅에 떨어져도 쉽게
싹
을 틔워 나무로 자라기는 어렵답니다. 그래도 자손을 번식하던 본능으로 땅에 떨어뜨리는 것이죠. 씨앗을 보호하려는 밤나무의 몸부림으로 가을은 그렇게 누렇게 익어갑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