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d라이브러리
"
싹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05
떨어져 나와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③ 포자법 : 몸의 특정 부분에서 생긴 포자에서
싹
이 터 새로운 개체가 된다.④ 영양 생식 : 영양 기관을 이용해 번식하는 방법이다.플라나리아 대신 각종 채소로 재생실험을 할 수 있다!!플라나리아처럼 몸의 일부로 다른 부분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난 ... ...
원칙 · 책임 · 화합으로 키우는 과학영재
과학동아
l
200904
함께 한다. 매년 6월에 재학생들의 실험성과를 도시할 목적으로 열리는 ‘과학
싹
잔치’는 강원도 전 지역의 학생들이 몰려올 정도로 인기가 높다. 한미애 과학부장 교사는 “작년에 참가한 초중고 학생 수만 해도 1600명이 넘었다”며 “이는 강원과학고가 지역사회의 교육문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고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903
남은 암술머리에 다른 꽃 수술의 꽃가루를 묻혀 수분을 한다. 이렇게 얻은 씨를 뿌려
싹
이 튼 식물의 꽃을 보고 원하는 특성을 띠는 개체를 선별한다. 이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품종을 만든다.“말로는 쉽지만 실제로는 무척 고된 작업입니다. 꽃 품종을 만드는 일에 환상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02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겉보리(껍질을 벗기지 않은 보리)의
싹
을 틔운다. ⓑ 뿌리와
싹
이 적당한 크기로 자란 뒤에 말려서 빻으면 엿기름가루가 된다. 1) 단 맛이 없는 밥이 단 맛이 있는 식혜로 변했다. 밥과 식혜의 주성분을 각각 확인하는 실험 방법과 예상되는 결과를 설명하라. 2) 엿기름 속에는 ... ...
섬진강 선생님의 자연 사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1
관찰기록장 같은 것은 필요 없어요. 그냥 자세히 보는 것이 중요하지요. 그러면 씨앗에
싹
이 트고 점점 자라 옥수수가 열리고, 다시 씨앗이 되는 과정 하나하나가 다 놀라움으로 가득하다는 것을 깨닫게 돼요.”선생님은 과학이란 이렇게 주변을 자세히 관찰하는 일에서 시작된다고 했어요.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이유를 찾아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학교 생활에 자신감이 생기고 개학 스트레스가
싹
~ 사라질 거야.리듬을 찾아라!잠을 못 자면 세로토닌 같은 호르몬이 줄어 우울하고 식욕이 준다. 개학 전부터 수면과 식사 시간을 학교 다닐 때와 같게 해서 생활 리듬을 되찾는다.이유를 찾아라!개학하면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솔라닌은 많이 먹으면 구토와 설사가 나고 호흡곤란 증세를 겪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싹
이난 감자를 먹지 말라고 하는 거예요. 피망에도 적지만 알칼로이드라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어 떫은맛을 낸답니다.”요리사가 식은땀을 흘리기 시작한다. 사건 분석 ❷ 사과씨에 독이 들어 있다?“하지만 ... ...
우주인과 함께한 식물생장 비교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콩과 무가 잘 자랐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우주에서는
싹
이 튼 종자의 개수도 적고
싹
이 튼 콩과 무도 줄기의 길이가 짧았어요. 이 실험을 담당한 원자력연구소의 강시용 박사님은“식물이 우주정거장 안에서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했고 온도도 지상보다 낮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고 밝혔어요. ... ...
자연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교향악. 양치식물의 합주를 들어 보세요.1악장 노래하듯이~Adagio cantabile~와! 양치식물의 새
싹
이에요. 바이올린의 머리 부분 같기도 하고 여러 가지 관악기나 타악기가 생각나기도 해요. 어린 양치식물은 이렇게 여린 줄기가 가늘게 돌돌 말린 모양을 하고 땅 위로 고개를 든답니다. 그런 다음 잎을 ... ...
[생물학]적의 적은 친구
과학동아
l
200809
통과해 식물 잎 속으로 흡수되면서 예상치 않은 결과로 이어진 것.패트로스 박사는 “
싹
양배추의 친척인 애기장대를 모델 식물로 써서 잎 위에 알을 낳았을 때와 BC를 발랐을 때 잎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했다”며 “그 결과 두 경우에 공통적으로 유전자 6개가 더 발현되고 3개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