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d라이브러리
"
싹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과학동아
l
200808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있고, 콩과 식물인 Vicia ativa 의 새
싹
에서 나온다감미료의 하나 정식이름은 L-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식품으로 단맛이 설탕의 180배,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L-아스파라긴(asparagin)산과 L-페닐알라닌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08
신선한 샐러드를 해먹자고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사실 임무훈련을 받을 때는 콩이
싹
트는 모습을 기록하는 일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방팔방으로 뻗는 뿌리와 박스 안에서 제멋대로 날아다니는 콩들을 보고 기록하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는 않았다.내가 실험을 하는 동안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07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있고, 콩과 식물인 Vicia ativa 의 새
싹
에서 나온다감미료의 하나 정식이름은 L-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식품으로 단맛이 설탕의 180배, 당뇨병 환자에게 설탕 대용으로 사용된다 L-아스파라긴(asparagin)산과 L-페닐알라닌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07
크기는 엄연히 다르다. 손바닥 크기만 하게 튼실한 바오밥나무 떡잎과 가녀린 장미의
싹
을 구분하지 못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흰개미, 땅 위에 집 짓는 이유케냐와 탄자니아의 초원을 지나다 보면 곳곳에 사람 키 높이 정도로 솟아 있는 고깔 모양의 붉은 언덕을 볼 수 있다. 흰개미들이 쌓아올린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04
미르(평화란 뜻의 러시아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역설적이게도 희망의
싹
은 냉전의 상대였던 옛 소련의 붕괴에서 피기 시작했다. 미국은 비용을 줄이며 빨리 우주정거장을 완성하기 위해 전체를 새로 만들기보다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결합하기로 한 것이다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 황색 등 여러가지가 있다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하며 큰 포기가 되지 않도록 해마다
싹
을 다 잘라 작은 포기를 만든다 태양면의 일부가 갑자기 밝게 빛나면서 폭발하는 현상인 플레어가 발생하면 그 직후에 지구에서는 일조반구의 전리권을 전파하는 단파대 전파의 강도가 급격히 약해지고 심할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당분으로 바꾼 거예요. 엿기름은 보리에
싹
이 트게 한 다음 말린 것이랍니다. 보리의
싹
에는 아밀라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가 녹말을 당으로 분해하지요. 아밀라아제는 우리 침에도 들어 있어서 밥을 오래 씹으면 달게 느껴진 답니다.다섯, 떡이 딱딱해지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02
분화가 일어나는데,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므로 잎으로부터 줄기 끝에 있는
싹
으로 어떤 자극인자(刺戟因子)가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高)에너지 입자를 이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가속기 기종으로는 양성자(陽性子) 싱크로트론이 대표적인것이고, 미국의 시차고 근교의 바타비아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빌려야 한다. 그런데 포유류는 이빨이 있어 음식을 씹을 때 씨가 으깨져 배설되더라도
싹
이 트지 않는다. 게다가 씨가 넓게 퍼지려면 걸어 다니는 포유류보다 날아다니는 조류가 더 좋은 파트너다. 따라서 캅사이신은 고추가 불청객인 포유류를 쫓아내려고 만들어낸 진화의 산물인 셈이다. 그런데 ... ...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완두콩을
싹
틔우다최근 국립수목원은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3300년 전의 완두콩을
싹
틔우는 데 성공했다. 이 완두콩은 현재의 완두콩에게는 없는 유전자를갖고 있어 앞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식물의 씨앗은 건조하고 온도변화가 적은 환경에서는 상당히 오랫동안 생존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