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스페셜
"
돌연변이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쉬운 일이 아니다. 설사 성공해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야생동물에 퍼지는 과정에서
돌연변이
가 일어나 병독성이 높아지면 더이상 백신이라고 부를 수 없다. 실제 백신의 역사에서 의도치 않은 ‘전염성 백신’의 부작용이 나타난 사례가 있다. 바로 경구용 소아마비 생백신이다. 이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50%까지 나왔다. 연구자들은 C를 T로 바꾸는 염기편집으로 미토콘드리아의 유해한
돌연변이
의 절반 정도를 고칠 수 있다고 추측했다. 다만 미토콘드리아 게놈편집은 초기 배아 단계에서 이뤄져야 하므로 실제 임상에 적용되려면 갈 길이 멀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이 미토콘드리아 질병의 동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끈다. 무슨 맛일까 궁금하긴 한데 선뜻 사고 싶지는 않아 아직 먹어보지는 못했다. 굳이
돌연변이
수박을 먹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속이 노란 수박이 속이 빨간 수박에 비해 자연에서 멀어진 변이체는 아니다. 실상은 그 반대일 수 있다. 게다가 수박 속살의 원래 색은 빨강도 노랑도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삽입된 유전자가 자손에게도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데노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바이러스는 DNA뿐만 아니라 RNA로도 저장하고 있다. 또 RNA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돌연변이
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는 곧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세균성 질병보다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더불어 평균적으로 세균은 0.5μm(마이크로미터·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라는 이름으로 다시 찾아왔다. 벌써 세 번째
돌연변이
의 등장이지만 백신 개발 연구는 원점부터 진행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떤 모습으로, 얼마나 자주 찾아올지 아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백신 개발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영화 《엑스맨》에 등장하는 매그니토는 말하자면 자기장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돌연변이
이다. 패러데이는 전기와 중력에 대해서도 전기력선과 중력선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적어도 개념적으로는 현대적인 장론(field theory)의 모태가 되는 발상이라 할 수 있다. 패러데이가 뛰어난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상쇄하는
돌연변이
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돌연변이
는 큰 영향력이 없다는 게 중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할 때 인체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발생하는 변이가 현재 연구되고 있다. 이는 지난 2월 유럽에서 처음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과거를 일부 추적할 수 있게 됐다. 물론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를 일으켰을 확률이 높은 만큼 현존하는 바이러스로 과거의 퍼즐을 정확히 끼워 맞추는 건 여전히 쉽지 않지만 말이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가장 먼저 제기된 가설은 생물의 최소 단위인 세포에서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분야에서는 면역지질대사를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한 정연석 서울대 교수, 체세포
돌연변이
에 의한 인체 세포 이질성을 연구한 주영석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뉴로모픽 감각 시스템을 위한 입체 단일칩을 개발 중인 황철성 서울대 교수(맨 위 사진 왼쪽), 에너지 전달 현상을 연구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