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연변이"(으)로 총 756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체르노빌 늑대, 암 회복력이 생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특정 유전자가 발견됐기 때문이야. 즉, 방사능으로 인한 유전적 돌연변이가 오히려 방사능 때문에 암이 생기는 걸 막은 거지.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잘 응용하면 인간의 암을 극복하는 길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 하지만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때문에 ...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검출용 DNA가 종류별로 가득히 붙어있습니다. 여기에 DNA를 흘려보내주면, 한번에 다양한 돌연변이를 검사할 수 있죠. 예를 들어, ‘남성형 탈모’ 항목에서는 지금까지 탈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3개 유전자(모낭 세포 파괴 유전자 ‘Chr20p11’ 등)의 5개 유전 변이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이 결과를 ...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나트륨 채널을 계속 열어둘 만큼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겁니다. 이런 돌연변이 빈대가 우점하는 상황이 되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무용지물이 됩니다. 2023년은 다시 빈대의 해가 됐습니다. 11월 9일 한국 정부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를 긴급 승인했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 ...
-
- [프로포즈상]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프러포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싫어하는 수컷은 말토트라이오스라는 복잡한 구조의 설탕을 분비할 수 있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기존 수컷은 맥아당이 든 용액을 분비하는데, 맥아당은 암컷의 타액에 닿는 순간 포도당으로 분해돼요. 반면 말토트라이오스는 타액에 닿아도 포도당으로 분해되지 ... ...
-
-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각 태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살충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해요. 연구팀은 지난 10월 12일에 반날개빈대에서도 유사한 돌연변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국립환경과학원은 11월 10일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를 빈대 방역용으로 긴급 승인했습니다. 김주현 교수는 “자주 사용하면 해당 살충제에도 저항성이 생길 수 ...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DNA는 부모에서 자식으로 세대가 바뀔 때마다 일정한 확률로 유전 정보 일부가 바뀌는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이를 반대로 추적하면 종 사이에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 또 언제 종이 분리되었는지 계산할 수 있는 거죠. 연구팀은 이런 방법으로 아시아에 있는 개들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고, ...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발 관리 등 생활과 밀접한 유전 요인들을 검사해준다. DNA칩 위에 원하는 특정 DNA의 돌연변이를 감지할 수 있는 염기서열을 부착해 검사자의 DNA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스마트폰 앱으로 신청 후 검사 키트에 타액을 담아 보내면, 열흘 정도 지나 앱을 통해 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사람들이 ...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분석이 무척 어렵다. 또한, 같은 이유로 분열 과정에서 다른 염색체끼리 붙는 등의 구조 돌연변이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 연구원은 “이 반복 서열을 더 연구하면 다운증후군 등 염색체 구조 변이로 인한 유전 질환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인간의 유전체를 더 깊이 ... ...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32%가 병원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중 실제로 전문가에 의해 검증된 미스센스 돌연변이는 약 0.1%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공개해 희귀 유전 질환 진단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기면 기존 기능을 못 하고 질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돌연변이나 변형에 강한 향상된 기능의 새로운 단백질을 찾고 있죠. 그런데 단백질은 입체적으로 꼬여 있어 눈으로 관찰하기에 복잡합니다. 이 때문에 직접 단백질 구조를 바꾸며 새롭게 설계하기에는 어려움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