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스페셜
"
분해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백신 만드는 mRNA 원리 설명할 새 분석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담그면 RNA결합단백질과 mRNA간 교차결합이 일어난다. RNA결합단백질을 단백
분해
효소로
분해
해 RNA결합 부위만 남기고 분석하면 RNA결합단백질의 종류와 결합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배아 발생 연구에 주로 쓰이는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방법을 검증했다. 그 결과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지만 정작 화력과 원자력을 이용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
해 얻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소 분야에서는 '클린 수소'를 갖추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배양육 분야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비타민과 호르몬, 미네랄을 이용해 소 태아의 혈청 없이 만든 배양액인 미국 크레센트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사이언스는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이
분해
된 모습을 1일 표지로 실었다. 폴리아미드는 무색투명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멤브레인은 막을 각각 뜻한다.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은 지난 수십년 동안 해수 담수화와 하폐수 재활용 등 수처리 산업에 쓰이고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특히 전파는 가시광보다 파장이 긴데, 이 때문에 망원경을 최대한 크게 지어야 충분한
분해
능을 얻을 수 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오랫동안 ‘세계 최대’ 타이틀을 보유했던 만큼 기존의 다른 전파망원경으로는 엄두도 내지 못할 굵직한 발견을 여럿 했다. 대표적으로 맥동 주기가 불규칙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단백질을 직접 사용한다. 왜냐하면 RNA라는 물질 자체가 불안정하고 세포 밖에서 쉽게
분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세포내에는 이렇게 불안정하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RNA를 보호하기 위해 수많은 단백질들이 RNA에 붙어 RNA의 정보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유전자 발현과정을 이끈다. 하지만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결합하면 퓨린 단백질
분해
효소(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자르고 비로소 세포 내로 침투한다.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을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 ...
사이언스 "영국 코로나19 변이체 감염력 높은 이유는 4개 돌연변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P)에서 히스티딘(H)으로 바뀐 변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와 결합 후 퓨린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절단되면서 활성화된다. P681H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절단 부위를 바꿔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독일 샤리테의대 교수는 "P681H는 N501Y만큼 감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
이어도 과학기지 주변은 동북아 바다의 급격한 플랑크톤종 변화 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측정된 영양염 농도 자료와 적조 발생 자료를 분석했다. 영양염은 유기물을
분해
하는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 원소를 말한다. 분석 결과 이 지역 해양의 광범위한 영역이 질소 부족 상태에서 인(P) 부족 상태로 바뀌고 동시에 규산염보다 질산염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 ...
[팩트체크] 코로나19 백신 맞으면 DNA 변화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있음을 입증했다. 하지만 mRNA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의 양이 너무 적고 인체에서 너무 빨리
분해
되는 등의 기술적 한계가 존재했다. 2000년대 초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이 이어지며 이 같은 기술적 한계들을 해결했고, 이번 코로나19 사태에 빠른 백신 개발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 ...
[랩큐멘터리]머리카락 수십만 분의 1 크기의 나노용기가 세상에 기여하는 방식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에너지, 의료진단 분야에 필요한 소재 개발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물의 전기
분해
를 촉진해 수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백금 촉매를 개발하거나 작은 나노 용기 입자를 세포 안에 넣어 다른 세포의 기능을 해치지 않으면서 인공적인 화학반응을 유도하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